00:00
00:00

S35 ⑲  독사 품 1)

■ SN 35.238 - 독사 경
 
238.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화려한 색깔을 가지고 있고 맹독을 가진 네 종류의 독사가 있다. 그때 살기를 바라고 죽기를 바라지 않으며 행복을 바라고 괴로움을 혐오하는 사람이 올 것이다. 그런데 그에게 이렇게 말한다. 


‘여보시오. 화려한 색깔을 가지고 있고 맹독을 가진 네 종류의 독사가 있습니다. 그대는 때때로 이 뱀들을 손에 감아서 들어 올려야 하고 때때로 목욕을 시켜야 하고 때때로 먹을 것을 주어야 하고 때때로 보금자리로 내려놓아야 합니다. 그런데 화려한 색깔을 가지고 있고 맹독을 가진 이 네 마리 독사 가운데 어떤 한 마리가 화가 나면 그대를 물어서 죽거나 죽음과도 같은 고통을 겪게 될 것입니다. 그러니 그대가 하고 싶은 대로 하십시오.’라고.
비구들이여, 그러면 그 사람은 화려한 색깔을 가지고 있고 맹독을 가진 네 종류의 독사가 두려워서 이리저리 도망칠 것이다. 이런 그에게 이렇게 말할 것이다.
‘여보시오. 다섯 명의 살인을 일삼는 살인자들이 ‘우리가 이놈을 보기만 하면 바로 그 자리에서 목숨을 빼앗아버리리라.’라고 하면서 그대의 등 뒤를 쫓아오고 있습니다. 그러니 그대가 하고 싶은대로 하십시오.’라고.
비구들이여, 그러면 그 사람은 화려한 색깔을 가지고 있고 맹독을 가진 네 종류의 독사가 두렵고 다섯 명의 살인을 일삼는 살인자들이 두려워서 이리저리 도망칠 것이다. 이런 그에게 이렇게 말할 것이다.
‘여보시오. 그대와 친숙한 여섯 번째의 살인자가 칼을 빼들고 ‘내가 이놈을 보기만 하면 바로 그 자리에서 목을 잘라버릴 것이다.’라고 하면서 그대의 등 뒤를 쫓아오고 있습니다. 그러니 그대가 하고 싶은 대로 하십시오.’라고.
비구들이여, 그러면 그 사람은 화려한 색깔을 가지고 있고 맹독을 가진 네 종류의 독사가 두렵고 다섯 명의 살인을 일삼는 살인자들이 두렵고 자신과 친숙한 여섯 번째의 살인자가 칼을 빼들고 오는 것이 두려워서 이리저리 도망칠 것이다. 그러다가 그는 빈 마을을 볼 것이다. 어떤 집에 들어가도 텅 비어 있고 황량하고 공허하였고 어떤 그릇을 집어 보아도 텅 비어 있고 황량하고 공허하였다. 이런 그에게 이렇게 말할 것이다.
‘여보시오. 지금 곧 마을을 약탈하는 도둑떼들이 이 빈 마을로 쳐들어 올 것입니다. 그러니 그대가 하고싶은 대로 하십시오.’라고.
비구들이여, 그러면 그 사람은 화려한 색깔을 가지고 있고 맹독을 가진 네 종류의 독사가 두렵고 다섯 명의 살인을 일삼는 살인자들이 두렵고 자신과 친숙한 여섯 번째의 살인자가 칼을 빼들고 오는 것이 두렵고 마을을 약탈하는 도둑떼들이 두려워서 이리저리 도망칠 것이다. 그러다가 그는 이 언덕에는 위험이 도사리고 있기 때문에 두려움이 있지만 저 언덕은 안전하고 아무 두려움이 없는 그런 큰 호수를 볼 것이다. 그러나 거기에는 안전하게 이 언덕에서 저 언덕으로 건네줄 배나 다리가 없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그 사람에게 이런 생각이 들 것이다.
‘여기 큰 호수가 있는데 이 언덕에는 위험이 도사리고 있고 두려움이 있지만 저 언덕은 안전하고 아무 두려움이 없다. 그러나 여기에는 안전하게 이 언덕에서 저 언덕으로 건네줄 배나 다리가 없다. 그러니 나는 풀과 잔가지와 큰 가지와 풀잎을 함께 모아서 뗏목을 엮은 뒤 그 뗏목에 의지하여 손과 발로 저으면서 노력하여 안전하게 저 언덕으로 건너가야겠다.’라고.
비구들이여, 그러자 그 사람은 풀과 잔가지와 큰 가지와 풀잎을 함께 모아서 뗏목을 엮은 뒤 그 뗏목에 의지하여 손과 발로 노력하여 안전하게 저 언덕으로 건너갔다. 참된 바라문은 이것을 건너 저 언덕에 도달하여 땅 위에 서 있다.
비구들이여, 이 비유는 뜻을 바르게 전달하기 위해서 내가 만든 것이다. 그 뜻은 이와 같다.
비구들이여, 화려한 색갈을 가지고 있고 맹독을 가진 네 종류의 독사는 네 가지 근본물질을 두고 한 말이니 그것은 땅의 요소, 물의 요소, 불의 요소, 바람의 요소이다.
비구들이여, 다섯 명의 살인을 일삼는 살인자들은 다섯 가지 집착에 의한 온을 두고 한 말이다. 그것은 물질에 집착하여 이루어진 온, 느낌에 집착하여 이루어진 온, 지각(인식)에 집착하여 이루어진 온, 형성에 집착하여 이루어진 온, 의식(식별)에 집착하여 이루어진 온(무더기.다발)이다.
비구들이여, 자신과 친숙한 칼을 빼든 여섯 번째 살인자란 즐거워함과 탐욕을 두고 한 말이다.
비구들이여, 빈 마을이란 여섯 가지 안의 감각장소를 두고 한 말이다. 
비구들이여 만일 지혜롭고 슬기롭고 현명한 자가 눈을 숙고해보면 그것은 텅 비어 있고 황량하고 공허하게 드러날 것이다. 만일 지혜롭고 슬기롭고 현명한 자가 귀를 숙고해보면 그것은 텅 비어 있고 황량하고 공허하게 드러날 것이다. 만일 지혜롭고 슬기롭고 현명한 자가 코를 숙고해보면 그것은 텅 비어 있고 황량하고 공허하게 드러날 것이다. 만일 지혜롭고 슬기롭고 현명한 자가 혀를 숙고해보면 그것은 텅 비어 있고 황량하고 공허하게 드러날 것이다. 만일 지혜롭고 슬기롭고 현명한 자가 몸을 숙고해보면 그것은 텅 비어 있고 황량하고 공허하게 드러날 것이다. 만일 지혜롭고 슬기롭고 현명한 자가 마음을 숙고해보면 그것은 텅 비어 있고 황량하고 공허하게 드러날 것이다.
비구들이여, 마을을 약탈하는 도둑떼들이란 여섯 가지 밖의 감각장소를 두고 한 말이다. 
비구들이여, 눈은 마음에 들거나 마음에 들지 않는 형색들의 공격을 받는다. 귀는 마음에 들거나 마음에 들지 않는 소리들의 공격을 받는다. 코는 마음에 들거나 마음에 들지 않는 냄새들의 공격을 받는다. 혀는 마음에 들거나 마음에 들지 않는 맛들의 공격을 받는다. 몸은 마음에 들거나 마음에 들지 않는 감촉들의 공격을 받는다. 마음은 마음에 들거나 마음에 들지 않는 법들의 공격을 받는다.
비구들이여, 큰 호수란 네 가지 폭류(거친 흐름)를 두고 한 말이니 그것은 감각적 쾌락에 의한 폭류, 존재에 의한 폭류, 견해에 의한 폭류, 무명에 의한 폭류이다. 
비구들이여, 위험이 도사리고 있고 두려움이 있는 이 언덕이란 자기 존재가 있음[有身]을 두고 한 말이다.
비구들이여, 안전하고 아무 두려움이 없는 저 언덕이란 열반을 두고 한 말이다.
비구들이여, 뗏목이란 여덟 가지 성스러운 길을 두고 한 말이니 그것은 바른 견해, 바른 사유, 바른 말, 바른 행위, 바른 생계, 바른 정진, 바른 마음 챙김, 바른 삼매이다. 
비구들이여, 손과 발로 노력한다는 것은 불굴의 정진을 두고 한 말이다.
비구들이여, 물을 건너 저 언덕에 도달하여 맨 땅에 서 있는 바라문이라는 것은 아라한을 두고 한 말이다.”


■ SN 35.239 - 마차 비유 경
 
239. “비구들이여, 세 가지 법을 갖춘 비구는 지금·여기에서 행복과 만족으로 많이 머물고, 번뇌들의 소멸을 위한 통찰이 시작된다. 어떤 세 가지인가? 감각기능들에서 문을 보호하고, 음식에 대한 적당량을 알고, 깨어 있음에 전념하는 것이다.
비구들이여, 비구는 어떻게 감각기능들에서 문을 보호하는가?
여기, 비구들이여, 비구는 눈으로 형색을 보면서 그 표상을 붙잡지 않으며, 뒤따르는 (세세한) 부분상도 붙잡지 않는다. 만약 그가 눈의 근이 보호되지 않은 채 머무르면, 마음에 들거나 마음에 들지 않는(탐욕과 번민) 삿되고 선하지 않은 형색들의 공격을 받을 것이다. 따라서 그는 눈의 근을 제어하기 위해서 닦으며, 길들이기 위해서 닦으며, 고요하게 하기 위해서 닦는다. … 귀로 소리를 들으면서 … 코로 냄새를 맡으면서 … 혀로 맛을 보면서 … 몸으로 감촉을 느끼면서 … 마음으로 법을 지각함에 그 표상을 붙잡지 않으며, 또 뒤따르는 부분상도 붙잡지 않는다. 만약 그가 마음의 근이 보호되지 않은 채 머무르면, 마음에 들거나 마음에 들지 않는 삿되고 선하지 않은 법들의 공격을 받을 것이다. 따라서 그는 마음의 근을 제어하기 위해서 닦으며, 길들이기 위해서 닦으며, 고요하게 하기 위해서 닦는다.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땅이 평평한 사거리 대로에 건강하고 혈통 좋은 말이 끄는 마차가 있다. 그 마차의 말에 마구가 채워졌고 채찍이 잘 준비되어 있다. 그러면 말 조련사는 그것에 올라타 왼손으로 고삐를 잡고 오른 손으로는 채찍을 쥐고서 어디든 그가 원하는 곳으로 가기도 하고 되돌아오기도 할 것이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비구는 여섯 가지 감각기능을 보호하기 위해서 닦고, 제어하기 위해서 닦고, 길들이기 위해서 닦고, 고요하게 하기 위해서 닦는다. 이렇게, 비구들이여, 비구는 감각기능들에서 문을 보호한다.

비구들이여, 비구는 어떻게 음식에 대한 적당량을 아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공양받은 음식에 대해 바른 생각으로 관찰한다. '맛을 즐기기 위함도 아니고, 배부르게 먹기 위함도 아니고, 몸을 살찌우기 위함도 아니고, 보기 좋게 가꾸고자함도 아니니, 다만 건강을 해치지 않고, 이 몸을 유지하여 청정범행을 돕기 위함이다. 바른 관찰로써 배고픔의 오래된 느낌만 제거하고 배부름의 새로운 느낌은 일으키지 않는다. 이와 같은 모든 문제로부터 스스로 자유로워져 계속 평온하게 머물며 닦고 익히기 위해 이 공양을 받는다.' 라고 바른 생각으로 관찰한다.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어떤 사람이 상처를 낫게 하기 위해서 연고를 바르고, 짐을 옮기기 위해서 수레바퀴에 기름을 바르는 것과 같다. 이렇게, 비구들이여, 비구는 음식에 대한 적당량을 안다.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는 깨어 있음에 전념하는가?
비구들이여, 비구는 낮 동안에는 경행하거나 앉아서 장애가 되는 법들로부터 마음을 청정하게 한다. 밤의 초경(初更)에는 경행하거나 앉아서 장애가 되는 법들로부터 마음을 청정하게 한다. 한밤중에는 마음 챙기고 알아차리면서 [正念正知] 일어날 시간을 마음을 기울인 후 발에 발을 포개고, 오른쪽 옆구리를 바닥으로 향하게 하여 사자처럼 눕는다. 밤의 말경(末更)에는 일어나서 경행하거나 앉아서 장애가 되는 법들로부터 마음을 청정하게 한다. 비구들이여, 비구는 이와 같이 깨어 있음에 전념한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법을 갖춘 비구는 지금·여기에서 행복과 만족으로 많이 머물고, 번뇌들의 소멸을 위한 통찰이 시작된다.”


■ SN 35.240 - 거북 비유 경
 
240. “비구들이여, 옛날에 거북이가 저녁 무렵에 강둑을 따라서 먹을거리를 찾고 있었다. 그때 자칼도 더녁 무렵에 강둑을 따라서 먹을거리를 찾고 있었다. 비구들이여, 거북이는 자칼이 멀리서 먹을거리를 찾아서 오는 것을 보았다. 보고서는 목을 포함한 다섯 부분을 자신의 등껍질에 감추고 미동도 않고 침묵하며 엎드려 있었다. 비구들이여, 자칼도 거북이가 멀리서 먹을 거리를 찾아서 오는 것을 보았다. 보고서는 거북이에게 다가갔다. 가서는 거북이 곁에서 ‘언제든 이 거북이는 목을 포함한 다섯 부분 가운데 어느 하나를 내놓을 것이다. 그때 그것을 붙잡아 끌어내어 먹어버릴 것이다.’라며 거북이 앞에 서 있었다. 거북이가 목을 포함한 다섯 부분 가운데 어떤 것도 내놓지 않았을 때, 기회를 얻지 못한 자칼은 거북이에게 낙심하고 거기서 떠나갔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마라 빠삐만가 ‘나는 이 비구들의 눈을 통해서 접근할 기회를 얻을 것이다. … 귀를 통해서 … 코를 통해서 … 혀를 통해서 … 몸을 통해서 … 나는 이 비구들의 마음을 통해서 접근할 기회를 얻을 것이다.’라며 그대들 앞에 항상 서 있다. 그러므로, 비구들이여, 그대들은 감각기능의 문을 보호하며 머물러야 한다. 눈으로 형색을 보면서 그 표상을 붙잡지 않으며 또 뒤따르는 (세세한) 부분상을 붙잡지 않아야 한다. 눈의 근이 보호되지 않은 채 머무르면, 마음에 들거나 마음에 들지 않는 삿되고 선하지 않은 형색들의 공격을 받을 것이기 때문에 눈의 근을 제어하기 위해서 닦아야 하며, 길들이기 위해서 닦아야 하며, 고요하게 하기 위해서 닦으며 머물러야 한다. 귀로 소리를 들으면서 … 코로 냄새를 맡으면서 …혀로 맛을 보면서 … 몸으로 감촉을 느끼면서 … 마음으로 법을 인식하면서 그 표상을 붙잡지 않으며 또 뒤따르는 부분상을 붙잡지 않아야 한다. 마음의 근이 보호되지 않은 채 머무르면, 마음에 들거나 마음에 들지 않는 삿되고 선하지 않은 법들의 공격을 받을 것이기 때문에 마음의 근을 제어하기 위해서 닦아야 하며, 길들이기 위해서 닦아야 하며, 고요하게 하기 위해서 닦으며 머물러야 한다.
그대들이 감각기능들에서 문을 보호하며 머물 때, 기회를 얻지 못한 마라 빠삐만은 그대들 때문에 낙심해서 떠나갈 것이다.”
'거북이가 자신의 등껍질에 사지를 집어넣듯
비구는 마음에 일어난 사유를 안으로 거둬들여
다른 것에 의지하지 않고 남을 해코지 않으며
완전한 평화를 얻어 아무도 비난하지 않아야 한다.'


■ SN 35.241 - 나뭇더미 비유 경 ①

241. 한때에 세존께서는 꼬삼비에서 강가 강의 언덕에 머물고 계셨다. 그곳에서 세존께서는 큰 나뭇더미가 강가 강물의 흐름을 따라 떠내려가는 것을 보셨다. 세존께서는 그것을 보신 뒤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비구들이여, 그대들은 강가 강의 흐름에 떠내려 가는 저 큰 나뭇더미를 보는가?"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비구들이여, 만약 저 나뭇더미가 이 언덕에 닿지 않고, 저 언덕에 닿지 않고, 중간에서 가라앉지도 않을 것이고, 바위에 걸리지도 않을 것이고, 사람에게 붙잡히지 않을 것이고, 비인간에게 붙잡히지 않을 것이고, 소용돌이에 휩쓸리지도 않을 것이고, 안에서 썩지도 않는다면, 비구들이여, 이렇게 저 나뭇더미는 바다로 흐르고 바로 향하고 바다로 들어갈 것이다. 그것의 원인은 무엇인가? 비구들이여, 강가 강의 흐름은 바다로 흐르고 바다로 향하고 바다로 들어가기 때문이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만약 그대들도 이 언덕에 닿지 않고, 저 언덕에 닿지 않고, 중간에서 가라앉지 않을 것이고, 바위에 걸리지 않을 것이고, 사람에게 붙잡히지 않을 것이고, 비인간에게 붙잡히지 않을 것이고, 소용돌이에 휩쓸리지 않을 것이고, 안에서 썩지 않는다면, 비구들이여, 이렇게 그대들은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갈 것이다. 그것의 원인은 무엇인가? 비구들이여, 바른 견해는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기 때문이다."
이렇게 말씀하시자. 어떤 비구가 세존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무엇이 이 언덕이고, 무엇이 저 언덕이고, 무엇이 가운데 가라앉음이고, 무엇이 바위에 걸림이고, 무엇이 사람에게 붙잡히지 않는 것이고, 무엇이 비인간에게 붙잡히지 않는 것이고, 무엇이 소용돌이에 휩쓸림이고, 무엇이 안에서 썩는 것입니까?"라고.
비구여, 이 언덕이라는 것은, 비구여, 여섯 가지 안의 감각장소(육내입처.六內入處)를 말하고, 저 언덕이라는 것은 여섯 가지 밖의 감각장소(육외입처.六外入處)를 말하고, 중간에서 가라앉음이라는 것은, 비구여, 소망과 탐욕을 말하고, 바위에 걸림이라는 것은, 비구여, 나는 있다는 자만을 말한다. 
그러면, 비구여, 사람에게 붙잡힘은 무엇인가? 여기, 비구여, 재가자들과 교제하며 머문다. 함께 기쁘하고, 함께 슬픔을 나눈다. 행복한 곳에서 행복해하고, 괴로운 곳에서 괴로워한다. 해야 하는 역할이 생길 때 그것들을 행한다(실천한다). 이것이, 비구여, 사람에게 붙잡힘이라고 불린다.
그러면, 비구여, 어떤 것이 비인간들에게 붙잡히는 것인가? 여기, 비구여, 어떤 자는 다른 천신의 무리를 갈구하여 청정범행을 닦는다. ‘이러한 계나 서원이나 고행이나 청정범행으로 나는 높은 단계의 천신이나 낮은 단계의 천신이 되리라.’라고. 비구여, 이를 일러 비인간에게 붙잡혔다고 한다.
비구여, 소용돌이에 휩쓸린다는 것은 다섯 가지의 감각적 쾌락을 두고 한 말이다.
비구여, 그러면 어떤 것이 중간에서 썩는 것인가? 비구여, 여기 어떤 자는 계를 지키지 않고, 나쁜 성품을 지니고, 불결하고, 의심스러운 행동을 하고, 몰래 행동하고, 사문이 아니면서 사문이라 주장하고, 청정범행을 닦지 않으면서 청정범행을 닦는다고 주장하고, 썩은 업에 의해 안이 썩었고, 여섯 감각의 문을 통해 탐욕 등 오염원들이 흐르고, 탐욕등으로 가득찼고, 청정하지 않다. 비구여, 이를 일러 중간에서 썩는 것이라 한다.
그때 소치는 사람 난다가 세존의 멀지 않은 곳에 서 있었다. 그는 세존의 말씀을 듣고난 후 세존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저는 이 언덕에 닿지 않고, 저 언덕에 닿지 않고, 중간에서 가라앉지 않을 것이고, 바위에 걸리지 않을 것이고, 사람에게 붙잡히지 않을 것이고, 비인간에게 붙잡히지 않을 것이고, 소용돌이에 휩쓸리지 않을 것이고, 안에서 썩지 않을 것입니다. 세존이시여, 저는 세존의 곁에서 출가하고자 합니다. 저는 구족계를 받고자 합니다.”
"난다여, 그렇다면 그대는 저 소들을 주인들에게 돌려주어라.”
“세존이시여, 소들은 자신의 송아지에 대한 애정 때문에 알아서 갈 것입니다.”
“난다여, 그대는 저 소들을 주인들에게 돌려주어라.”
그러자 소치는 사람 난다는 주인들에게 소들을 돌려준 뒤 세존께 다가갔다. 가서는 세존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소들을 주인에게 돌려주었습니다. 세존이시여, 이제 저는 세존의 곁에서 출가하고자 합니다. 저는 구족계를 받고자 합니다.”
소치는 사람 난다는 세존의 곁에서 출가하였고 구족계를 받았다. 구족계를 받고 홀로 외딴 곳에서 방일하지 않고 노력하고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머문 난다 존자는 오래지 않아 좋은 가문의 아들들이 집에서 집없는 곳으로 출가하는 목적인 위없는 청정범행의 완성을 스스로 깨달아 알고 체득하고 성취하여 머물렀다. 
'태어남은 끝났다. 청정범행은 완성되었다. 해야 할 일은 이루어졌다. 이 상태 외에 다른 삶은 없다'라고 알았다. 
난다 존자는 아라한들 중의 한 분이 되었다.


■ SN 35.242 - 나뭇더미 비유 경 ②

242. 한때에 세존께서는 낌빌라의 강가 강의 언덕에 머물고 계셨다. 그곳에서 세존께서는 큰 나뭇더미가 강가 강물의 흐름을 따라 떠내려가는 것을 보셨다. 세존께서는 그것을 보신 뒤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비구들이여, 그대들은 강가 강의 흐름에 떠내려 가는 저 큰 나뭇더미를 보는가?"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비구들이여, 만약 저 나뭇더미가 이 언덕에 닿지 않고, 저 언덕에 닿지 않고, 중간에서 가라앉지도 않을 것이고, 바위에 걸리지도 않을 것이고, 사람에게 붙잡히지 않을 것이고, 비인간에게 붙잡히지 않을 것이고, 소용돌이에 휩쓸리지도 않을 것이고, 안에서 썩지도 않는다면, 비구들이여, 이렇게 저 나뭇더미는 바다로 흐르고 바로 향하고 바다로 들어갈 것이다. 그것의 원인은 무엇인가? 비구들이여, 강가 강의 흐름은 바다로 흐르고 바다로 향하고 바다로 들어가기 때문이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만약 그대들도 이 언덕에 닿지 않고, 저 언덕에 닿지 않고, 중간에서 가라앉지 않을 것이고, 바위에 걸리지 않을 것이고, 사람에게 붙잡히지 않을 것이고, 비인간에게 붙잡히지 않을 것이고, 소용돌이에 휩쓸리지 않을 것이고, 안에서 썩지 않는다면, 비구들이여, 이렇게 그대들은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갈 것이다. 그것의 원인은 무엇인가? 비구들이여, 바른 견해는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기 때문이다."
이렇게 말씀하시자 낌빌라 존자가 세존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무엇이 이 언덕이고, 무엇이 저 언덕이고, 무엇이 가운데 가라앉음이고, 무엇이 바위에 걸림이고, 무엇이 사람에게 붙잡히지 않는 것이고, 무엇이 비인간에게 붙잡히지 않는 것이고, 무엇이 소용돌이에 휩쓸림이고, 무엇이 안에서 썩는 것입니까?"라고.
낌빌라여, 이 언덕이라는 것은, 비구여, 여섯 가지 안의 감각장소(육내입처.六內入處)를 말하고, 저 언덕이라는 것은 여섯 가지 밖의 감각장소(육외입처.六外入處)를 말하고, 중간에서 가라앉음이라는 것은, 비구여, 소망과 탐욕을 말하고, 바위에 걸림이라는 것은, 비구여, 나는 있다는 자만을 말한다.
그러면, 낌빌라여, 사람에게 붙잡힘은 무엇인가? 여기, 낌빌라여, 재가자들과 교제하며 머문다. 함께 기쁘하고, 함께 슬픔을 나눈다. 행복한 곳에서 행복해하고, 괴로운 곳에서 괴로워한다. 해야 하는 역할이 생길 때 그것들을 행한다(실천한다). 이것이, 낌빌라여, 사람에게 붙잡힘이라고 불린다.
그러면, 낌빌라여, 어떤 것이 비인간들에게 붙잡히는 것인가? 여기, 낌빌라여, 어떤 자는 다른 천신의 무리를 갈구하여 청정범행을 닦는다. ‘이러한 계나 서원이나 고행이나 청정범행으로 나는 높은 단계의 천신이나 낮은 단계의 천신이 되리라.’라고. 비구여, 이를 일러 비인간에게 붙잡혔다고 한다.
낌빌라여, 소용돌이에 휩쓸린다는 것은 다섯 가지의 감각적 쾌락을 두고 한 말이다.
낌빌라여, 그러면 어떤 것이 중간에서 썩는 것인가? 낌빌라여, 여기 어떤 자는 계를 지키지 않고, 나쁜 성품을 지니고, 불결하고, 의심스러운 행동을 하고, 몰래 행동하고, 사문이 아니면서 사문이라 주장하고, 청정범행을 닦지 않으면서 청정범행을 닦는다고 주장하고, 썩은 업에 의해 안이 썩었고, 여섯 감각의 문을 통해 탐욕 등 오염원들이 흐르고, 탐욕등으로 가득찼고, 청정하지 않다. 낌빌라여, 이를 일러 중간에서 썩는 것이라 한다.
 

다른 화

목록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