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0
00:00


5. 입실제품(入實際品)

이에 여래께서 이와 같은 말씀을 하셨다.
“모든 보살들은 본각의 이익에 깊이 들어가야 중생을 제도할 수 있느니라. 만일 뒷날 때아닌 때에 진여에 상응하여 법을 설하면 시기와 이익을 모두 갖추기 어려우므로 혹은 순조롭게 말하고 혹은 거슬리게 설법하되 동일한 것도 아니요, 다른 것도 아니게 진여에 상응하여 설하느니라. 모든 허망한 감정과 지견(智見)을 이끌어 일체지혜 바다에 흘러 들어가게 하며, 제도받을 수 있는 중생들로 하여금 헛된 바람에 휩쓸리지 않게 하며, 모두 저들로 하여금 한가지 맛의 신통한 젖(神乳)을 얻도록 할 뿐이니라.
세간은 세간이 아니며 머묾은 머무는 처소가 아니니, 다섯 가지 공(五空)에 나가고 들어가되 취하고 버림이 있을 수 없느니라.
왜냐하면 모든 법의 공한 모습과 바탕은 있는 것도 없는 것도(有無) 아니요, 없는 것도 없지 않은 것도 아니니라. 없는 것도 아니요 있는 것도 아니므로 결정된 바탕이 없나니, 있다는 것에도 없다는 것에도(有無) 머무르지 않기 때문이니라. 저 있다 없다 분별하는 범부나 성인의 지혜로는 측량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니라. 모든 보살들이 만일 이 이익을 알 것 같으면 바로 깨달음을 얻으리라.”

그 때 대중 가운데 한 보살이 있었는데 대력(大力)이라 불렀다. 바로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 앞에서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대로 다섯 가지 공에 나가고 들어감에 취하고 버림이 있을 수 없다고 하셨는데, 다섯 가지 공에서 취하고 버림이 없다는 것은 무엇입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보살의 다섯 가지 공이란 삼유(有)가 공이요, 천상 인간 아수라 축생 아귀 지옥의 육도의 그림자가 공이며, 법의 모습(法相)이 공(空)이요, 명상(名相)이 공이며, 심식(心識)이 공임을 말하느니라. 보살이여, 이와 같은 공들은 공이면서 공에 머물지 아니하며, 공이면서 공의 모습이 없거니와 모양이 없는 법에 어찌 취하고 버림이 있겠는가? 취할 것이 없는 경지에 들어가면 삼공(三空)에 들어가느니라.”
대력보살이 여쭈었다.
“어떠한 것이 삼공(三空)입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삼공(三空)이란 공의 모습(空相)도 공하며, 공이 공하다(空空)는 것도 공하며, 그 공해진 것(所空)도 공한 것을 말하느니라. 이와 같은 공들은 세 가지 모습에 머무르지 아니하지만 진실하지 않은 것은 아니니, 문자와 언어의 길이 끊어져 헤아릴 수 없느니라.”
대력보살이 여쭈었다.
“진실은 없는 것이 아니라면, 이것의 모습은 마땅히 있는 것이어야 합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없는 것(無)은 없는 것에 머무르지 아니하고, 있는 것(有)은 있는 것에 머무르지 않으니, 없는 것도 아니고 있는 것도 아니다. 있는 것이 아닌 법은 아니라고 하면 없는 것에 머무르는 것이다. 없는 것이 아닌 모습, 아니라고 하면 있는 것에 머무는 것이니, 있고 없는 것으로써 이치를 드러낼 수 없는 것이니라. 보살이여, 이름과 뜻(名義)이 없는 모습은 헤아릴 수 없느니라. 왜냐하면 이름 없는 이름이라 하여 이름 없는 것이 아니며, 뜻 없는 뜻이라 하여 뜻이 없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니라.”

대력보살이 여쭈었다.
“이와 같은 이름과 뜻은 진실하고 여여한 모습이며, 여여하게 오는 여여한 모습입니다. 그 여여함은 여여함에 머무르지 아니하며, 여여함에는 여여함의 모습이 없습니다. 모습(相)에는 여여함이 없기 때문에 여여하게 오지 않는 것이 없으며, 중생의 마음의 모습들 또한 여여하게 오는 것이니, 중생의 마음에는 마땅히 특별한 경지가 없겠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러하니라. 중생의 마음에는 진실로 별다른 경계가 없느니라. 왜냐하면 마음은 본래 청정하기 때문이며, 이치는 더러움이 없기 때문이니라. 다만 티끌에 물들었기에 삼계라 이름하며, 삼계의 마음을 별다른 경계라 이름하느니라. 이 경계는 허망한 것이며, 마음의 변화를 따라서 생긴 것이니, 마음에 허망함이 없을 것 같으면 특별한 경계도 없는 것이니라.”

대력보살이 여쭈었다.
“만일 마음이 깨끗할 것 같으면 가지가지의 경계는 생기지 않을 것이니, 이 마음이 청정할 때는 마땅히 삼계가 없겠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러하니라. 보살이여, 마음이 경계를 발생시킨 것이 아니고 경계도 마음을 일으키지 않느니라. 왜냐하면 보이는 모든 경계는 오직 보여지는 마음일 뿐이니, 마음에 환화(幻化)가 없으면 보이는 것도 없기 때문이니라. 보살이여, 안으로 중생이 없고 세 가지 성품이 공적하면 나라는 무리도 없고 남이라는 무리도 없느니라. 이리하여 깨달음의 두가지의 들어감(二入)에 이르러도 역시 마음을 일으키지 않게 되나니, 이러한 이익을 얻으면 삼계가 없는 것이니라.”

대력보살이 여쭈었다.
“어떠한 것이 두 가지의 들어감에서 마음을 일으키지 않는 것입니까? 마음은 본래 생기지 않는 것인데 어떻게 들어간다고 말씀하십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두 가지 들어감이란, 첫째는 이치로 들어감(理入)이요, 둘째는 행함(行入)으로 들어가는 것이니라.
이치로 들어간다는 것은, 중생은 참된 바탕(眞性)과 다르지 않지만 하나도 아니요 같은 것도 아니니라. 다만 번뇌(客塵)에 가리어 있을 뿐이며, 가지도 않고 오지도 않는 것임을 깊이 믿는 것이니라. 마음을 깨우침의 관법(覺觀)에 집중하되 불성을 잘 관찰하여 있는 것도 아니요 없는 것도 아니며, 자신도 없고 다른 이도 없으며, 범부와 성인이 둘이 아닌 금강 같은 마음의 경지(金剛心地)에 굳게 머물러 이동하지 아니하며, 적정(寂靜)하여 인위적인 조작이 없고 분별함이 없으면, 이것을 이치로 들어가는 것(理入)이라 부르는 것이니라.
행함으로 들어간다는 것은, 마음이 어디로 기울거나 의지하지 아니하고 그림자가 흘러 변함이 없으며, 있는 곳(有處)에서 고요히 생각하되, 찾는 것이 없어서 경계의 바람이 두드리나 움직이지 않기가 마치 대지(大地)와 같으며, 대상(心)과 주체(我)를 버리고 중생을 제도하되 생김도 없고 모습도 없으며, 취하지도 않고 버리지도 않는 것이니라.
보살이여, 마음에는 나가고 들어옴이 없고 나가고 들어오는 것이 없는 마음은 들어오되 들어오지 않는 것이므로 들어오는 것이라 부르느니라.
보살이여, 이와 같이 법에 들어가되 법의 모습(法相)은 공하지 아니하며, 공하지 않은 법이지만 헛되이 버리지 않느니라. 왜냐하면 없는 것이 아닌 법은 공덕을 갖추고 있으며, 마음도 아니요 그림자도 아니며, 법 그대로가 청정하기 때문이니라.”

대력보살이 여쭈었다.
“어찌하여 마음도 아니요 그림자도 아니며, 법이가 청정하다고 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공하고 여여한(空如) 법은 심식(心識)의 법이 아니요, 마음의 부림(心使)이 소유한 법도 아니니라. 공한 모습(空相)의 법도 아니며, 물질적인 모습(色相)의 법도 아니니라. 마음의 유위(有爲)와서로 응하지 않는 법도 아니며, 마음의 무위(無爲)와 서로 응하는 법도 아니니라. 드러난 그림자도 아니며 어떠한 현상으로 드러내어 보이는 것도 아니니라. 자성(自性)도 아니며 차별도 아니요, 이름도 아니며 모습(相)도 아니요, 뜻(義)도 아니니라. 왜냐하면 뜻에는 여여함(如)이 없기 때문에 여여함이 없는 법 또한 없는 것이요 여여함이 없는 것이며, 여여함이 없는 것도 있을 수 없으며, 그렇다고 여여함이 없는 법이 있다는 것도 아니니라. 왜냐하면 근본 이치인 법은 이치도 아니며 근본도 아니요, 모든 쟁론을 떠나 그 모습을 볼 수도 없기 때문이니라. 보살이여, 이와 같이 청정한 법은 생기되 생김이 있는 법으로 생기는 것도 아니요, 없어지되 없어지는 법으로 없어지는 것도 아니니라.”

대력보살이 여쭈었다.
“불가사의합니다. 이와 같은 법의 모습은 무엇이 합하여 이루어진 것도 아니요, 홀로 이루어진 것도 아닙니다. 굴레를 메울 수도 없고 무엇과 짝지을 수도 없으며, 모이는 것도 아니고 흩어지는 것도 아니며, 생기는 것도 아니요 없어지는 것도 아니며, 또한 오는 모양이나 가는 모양이 없으니 참으로 불가사의합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러하니라. 불가사의하고도 불가사의하니라. 마음과 마음도 역시 그러하니라. 왜냐하면 여여함(如)은 마음과 다르지 않나니, 마음은 본래 여여하기 때문이니라.
중생의 불성(佛性)은 하나도 아니요, 다른 것도 아니니라. 중생의 바탕은 본래 생기고 없어짐이 없나니, 생기고 없어지는 바탕은 그 바탕이 본래 열반이니라. 바탕과 모습(性相)이 본래 여여하며, 여여함에는 움직임이 없기 때문이니라.
일체의 법의 모습(法相)은 인연을 따르나 일어남이 없으며, 일어나는 모습과 바탕은 여여하며, 여여함은 움직이는 바가 없는 것이니라. 인연의 바탕과 모습은 서로가 본래 공한 것이며, 인연과 인연은 공하고 공한 것이어서 인연으로 일어날 수 없느니라. 일체의 연기법은 미혹한 마음과 망령된 견해이며, 드러난 것은 본래 생김이 없는 것이니, 인연의 근본은 없는 것이기 때문이니라. 마음은 법의 이치와 같아서 자체가 공하여 없는 것이니라. 저 공의 으뜸(空王)은 본래 머무르는 곳이 없건마는, 범부의 마음은 망령되이 분별해서 보는 것과 같으니라.
여여의 모습은 본래 있고 없는 것이 아니니라. 있다거나 없다거나 하는 모습은 오직 심식(心識)을 보는 것일 뿐이니라. 보살이여, 이러한 심법(心法)은, 자체는 없는 것도 아니며 있는 것도 아니요, 있는 것도 아니며 없는 것도 아니니라. 보살이여, 없다느니 없지 않다느니(無不無) 하는 모습은 언설로 도달하는 경지가 아니니라. 왜냐하면 진여의 법은 텅 비어서 모습이 없나니, 이승(乘)이 미칠 수 있는 경지가 아니기 때문이니라. 허공의 경계는 안과 밖을 헤아릴 수 없는 것이니, 여섯 가지를 실천하는(六行) 보살이라야 이것을 알 수 있느니라.”

대력보살이 여쭈었다.
“어떠한 것을 6행(行)이라 합니까? 원컨대 설명하여 주십시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첫째는 10신행(信行)이요, 둘째는 10주행(住行)이요, 셋째는 10행행(行行)이요, 넷째는 10회향행(回向行)이요, 다섯째는 10지행(地行)이요, 여섯째는 등각행(等覺行)이니, 이와 같이 실행하는 사람이라야 능히 알 수 있느니라.”

대력보살이 여쭈었다.
“실제에 대한 깨달음의 이익은 나가고 들어옴이 없나니, 어떠한 법과 마음으로 실제에 들어갈 수 있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실제의 법은, 법에 끝이 없으므로 끝이 없는 마음이면 실제에 들어가느니라.”
대력보살이 여쭈었다.
“끝없는 마음의 지혜는 그 지혜가 끝없으며, 끝없는 마음은 마음에 자재함을 얻나니, 자재로운 지혜라야 실제에 들어가게 되느니라. 저 범부들처럼 마음이 유약한 중생들은 그 마음에 헐떡거림이 많으리니, 어떠한 법으로 다스려야 견고한 마음을 얻어서 실제에 들어가게 하겠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보살이여, 저 마음이 헐떡거리는 자는 안과 밖의 번뇌(使)로 끄달림에 따라서 흘러가 물방울이 모여 바다를 만드느니라. 커다란 바람이 파도를 치면 큰 용이 놀라 날뛰나니, 그 놀라 날뛰는 마음 때문에 헐떡거림이 많게 되느니라. 보살이여, 저 중생들로 하여금 셋을 보존하고 하나를 지키게 해서(存三守一) 여래선(如來禪)에 들어가게 하나니, 선정 때문에 마음은 헐떡거림이 없어지느니라.”
대력보살이 여쭈었다.
“어떠한 것을 셋을 보존하고 하나를 지키게 해서 여래선에 들어간다고 하는 것입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셋을 보존한다는 것은 세 가지 해탈을 보존하는 것이요, 하나를 지키게 한다는 것(守一)은 한마음의 진여(如)를 지키는 것이니라. 여래선에 들어간다는 것은 이치로써 마음의 청정한 진여를 관찰(觀)하는 것이니, 이와 같은 마음의 경지에 들어가는 것이 바로 실제에 들어가는 것이니라.”
대력보살이 여쭈었다.
“세 가지 해탈법이란 어떠한 일이며, 이치로써 관찰하는 삼매는 어떠한 법을 따라서 들어갑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세 가지 해탈이란 바로 허공해탈·금강해탈·반야해탈을 말하며, 이치로 관(觀)한다는 것은 마음이 이치대로 청정하여 마음이 아니라고 할 수 있는 것이 없는 것이니라.”
대력보살이 여쭈었다.
“어떠한 것을 작용을 보존하는 것(存用)이라 하며, 어떠한 것을 관찰한다 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마음과 현상(事)이 둘이 아닌 것을, 작용을 보존하는 것이라 부르고, 안으로 행하고(內行) 밖으로 행함(外行)에, 나가고 들어오는 것이 둘이 아니며, 하나의 모습에 머무르지 않고, 마음에 얻고 잃음이 없어서 동일하면서도 동일하지 않은 경지로 깨끗한 마음이 흘러들어 가는 것을 관찰한다고 부르는 것이니라.
보살이여, 이러한 사람은 두 가지 모습에 머무르지 않느니라. 비록 출가를 하지는 않았으나 그렇다고 집에 있는 것(在家)에도 집착하지 않느니라. 비록 법복이 없고 바라제목차를 갖추지 아니하였으며, 포살(布薩)에 들어가지 않는다 하더라도 자신의 마음은 인위적인 조작이 없이(無爲) 저절로 편안하기 때문에 성인의 도과(道果)를 얻어서 이승(乘)에 머무르지 아니하고 보살도에 들어간 뒤에 마땅히 수행의 경지를 채워서 부처님의 깨달음을 이루게 되느니라.”
대력보살이 여쭈었다.
“불가사의합니다. 이러한 사람은 출가하지는 않았지만 출가하지 않은 것도 아닙니다. 왜냐하면 열반의 저택에 들어가서 여래의 옷을 입고 깨달음의 자리에 앉은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사람은 사문이라 할지라도 마땅히 존경하고 공양하여야 하겠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러하니라. 왜냐하면 열반의 저택에 들어가서 마음은 삼계를 뛰어넘었으며, 여래의 옷을 입고 법이 공한 곳에 들어갔으며, 깨달음의 자리에 앉아서 바른 깨달음의 경지에 올라갔으니, 이와 같은 사람은 마음으로 두 가지 나(二我)를 뛰어넘었거늘, 어찌 하물며 사문이라 하여 존경하고 공양하지 않겠는가?”
대력보살이 여쭈었다.
“저와 같이 순일한 경지와 공의 바다는 이승의 사람들에게는 보이지 않겠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러하니라. 저 이승(乘)의 사람들은 삼매에 탐닉하여 삼매의 몸을 얻지만 저 공의 바다인 순일한 경지에서는 마치 술 병(酒病)을 얻어 침침하며 취하여 깨어나지 못하거나, 수많은 시간을 보내고도 오히려 깨어나지 못하는 것과 같나니, 술기운이 사라지고 나서야 비로소 깨어나며, 바야흐로 이러한 행을 닦은 뒤에 부처님 육신을 얻게 되는 것이니라.
저러한 사람은 일천제를 버림에 따라서 곧 여섯 가지의 행(行)에 들어가며, 행하는 경지와 처소에서 한 생각의 깨끗한 마음이 청정하며, 결정코 명백하여 금강 같은 지혜의 힘으로 아비발치의 경지에서 중생을 제도하되 자비심에 다함이 없느니라.”
대력보살이 여쭈었다.
“이러한 사람은 마땅히 계율(戒律)을 지키지 않으리니, 저 사문들을 마땅히 공경하여 우러러보지 않을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계율을 설명하는 사람이 되면 착하지 않고 교만하기 때문이며, 마음 바다의 파도와 물결 때문이니라. 그러나 그의 마음의 땅(心地)은 8식(識)의 바다가 잔잔해지고, 9식(識)의 흐름이 청정하여 바람이 그것을 움직일 수 없고, 파도와 물결이 일어나지 않나니, 계율의 근본 바탕은 공과 같아서 그것을 지키는 자는 도리어 미혹하여 엎어지는 것이니라. 저러한 사람은 7식(識)과 6식이 일어나지 않고 가지가지의 갈망과 애욕(諸集)이 사라져 고요하며, 세 부처님을 여의지 않고 보리심을 발하느니라. 세 가지 모습 없는 가운데서 마음에 순응하여 심오하게 들어가되 삼보(寶)를 깊이 공경하고 위의(威儀)를 잃지 않기 때문에 저 사문을 공경하지 않음이 없느니라. 보살이여, 저 어진 사람은 세간의 움직이거나 움직이지 않는 법에 머무르지 않으며, 세 가지 공한(三空) 마을(聚)에 들어가 세 가지 법(三有)의 마음을 없애느니라.”
대력보살이 여쭈었다.
“저 어진 사람은 과족만덕 부처님과 여래장 부처님과 형상 부처님 등 이러한 부처님의 처소에서 보리심을 발하여 삼취정계에 들어가지만 그 모습(相)에 머무르지 않고, 삼계의 마음을 없애 버리되 공적한 경지에 거주(居住)하지 않으며, 제도할 만한 중생을 버리지 않으려고 고르지 못한 땅(중생계)에 들어갔으니 불가사의합니다.”
그 때에 사리불이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 앞에서 게송으로 말하였다.

반야의 바다를 갖추었지만
열반의 성역에 머물지 않나니
마치 저 미묘한 연꽃이
높은 언덕에서 나지 않은 것 같네.

모든 부처님께서 한량없는 세월에
온갖 번뇌를 버리지 않으시고
세상 건지신 뒤에 득도하심은
마치 진흙에서 연꽃이 나오는 것 같네.

저러한 6행(行)의 경지는
보살이 닦을 바요,
저러한 3공(空)의 마을은
보리의 참된 길이네.

나는 이제 머물되 머무르지 않는 것
부처님께서 설하신 바와 같이
올 곳으로 다시 돌아와
보살도 갖춘 뒤에 벗어나리라.

또한 모든 중생들로 하여금
나와 하나요 둘이 없게 하듯이
앞에 온 이나 뒤에 오는 이
모두 바른 깨침에 오르게 하리.

그 때에 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불가사의하니라. 너는 마땅히 장차 깨달음의 길을 성취하여 한량없는 중생들이 생사(生死)의 바다를 벗어나게 하리라.”
그 때에 대중들은 모두 보리를 깨달았고, 많은 소승의 무리들은 다섯 가지의 공(空)한 바다에 들어갔다.

다른 화

목록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