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0
00:00

13. 입교편 – 교육을 바로 세우다


1.
공자가 말씀하셨다. 


입신에는 의리가 있으니 효성스러움이 근본이 되고,
상이 났을 때 예법이 있으니 슬퍼함이 근본이 되고,
전장에 나아가서 서열이 있으니 용맹이 근본이 되고,
정사를 다스림에 이치가 있으니 농업이 근본이 되고,
나라에 머무는데 도리가 있으니 후사가 근본이 되고,
재화를 생산함에 시기가 있으니 노력이 근본이 된다.

2
정치에서 중요한 것은 말하자면 공정함과 청렴함이요
일가를 이루는 법도를 말하자면 검소함과 근면함이다.

3
경서를 읽는 것은 집안을 일으키는 근본이며
도리를 따르는 것은 집안을 지키는 근본이며
근면하고 절약함은 집안을 꾸려가는 근본이며
화목함과 수순함은 집안을 다스리는 근본이다.

4
<공자삼계도>에서 말한다.
일생의 계획은 어릴 때 달려있고
한 해의 계획은 봄날에 달려있고
하루의 계획은 새벽에 달려있다.
어려서 배우지 않으면 늙어서 아는 것이 없고
봄에 밭 갈지 않으면 가을이 되어 소망이 없고
새벽에 일어나지 않으면 그날 하는 일이 없다.

5
<성리서>에서 말한다.
다섯 가지 가르침의 항목은
부친과 자식 사이에는 친함이 있어야 하고
군주와 신하 사이에는 의리가 있어야 하고
남편과 부인 사이에는 구별이 있어야 하고
어른과 아이 사이에는 차례가 있어야 하고
친구와 친구 사이에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

6
3강이라 함은
군주는 신하에게 근본이 되고
아버지는 자식의 근본이 되고
남편은 부인의 근본이 됨이라.

7
왕촉이 말씀하셨다.
충신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않고
열녀는 두 남편을 섬기지 않는다.

8
충자가 말씀하셨다.
관리들을 다스림에 공평함 같은 것 없고
재물을 얻게되어서 청렴함 만한 것 없다.

9
<장사숙 좌우명>에서 말한다.
말이란 것은 반드시 충실함과 믿음이 있어야 하고
행하는 것은 반드시 두터움과 공경이 있어야 하고
밥을 먹음에 반드시 신중함과 절제가 있어야 하고
획을 그음에 반드시 해서체의 곧음이 있어야 하고
얼굴 모습은 반드시 단정하고 엄숙하게 해야 하고
옷과 관모는 반드시 가지런하고 바르게 해야 하고
걸음 걸이는 반드시 안전하고 고상하게 해야 하고
머무는 곳은 반드시 방정한 곳으로 고요해야 하고
일을 함에는 반드시 계획을 세워서 시작해야 하고
말을 함에는 반드시 실행 여부를 돌아보아야 한다.
일상의 덕은 반드시 굳건하게 지녀야 하며
승낙할 때는 반드시 신중하게 응해야 하며
선을 보거든 반드시 내게서 나온 듯 여기고 [반가워 하며]
악을 보거든 반드시 내 몸의 병으로 여기고 [고쳐야 한다]
무릇 이러한 열네 가지는 모두가
내가 깊게 살피지 못하는 것으로
이 좌우명을 자리 한쪽에 써놓아
아침저녁으로 보고 경계해야 한다.

10
<범익겸 좌우명>에서 말한다.
첫째, 조정의 이해 관계나 변방의 보고, 관직 임명에 대해 말하지 말고,
둘째, 지방의 관원들의 장단점이나 이득과 손실에 대해서 말하지 말고,
셋째, 여러 사람들이 저지른 허물이나 나쁜 일들에 대해서 말하지 말고,
넷째, 관직에서 승진하거나 추세에 따라 세력에 붙는 것을 말하지 말고,
다섯째, 이익의 많고 적음이나 가난이 싫고 부를 바란다고 말하지 말고, 
여섯째, 음란하고 난잡한 농이나 여색을 거칠게 평론하며 말하지 말고,
일곱째, 남의 물건을 요구하거나 술이나 음식을 찾는 일을 말하지 말라.
또한 남들이 서신을 부탁하거든 열어보거나 지체해서는 안되고,
사람들과 나란히 앉게 되거든 남의 사적인 글을 엿보면 안되고,
남의 집에 들어가게 되거든 남들의 문자를 자세히 보면 안되고,
남의 물건을 빌리면 망가뜨리거나 되돌려주지 않으면 안되고,
음식을 먹게 되거든 가려 집으면서 버리거나 취해서는 안되고,
남들과 같이 머물면서 자기 편리한 데로만 택해서는 안되고,
남이 부귀하다고 한탄하거나 흉보고, 질투나 폄훼하면 안된다.
여기서 몇가지 일들을 범한 것이 있는 사람은
보여지는 마음씀이나 의도가 불초하다 할만하다.
마음을 지키고 자신을 닦아 나감에
크게 해가 되는 것이 있게 되기에
글에 따라 스스로를 경책할지니라.

11
주나라 무왕이 강태공에게 물어 말씀하셨다.
“사람이 세상 사는데 어째서 귀천이나 빈부로 평등하지 못합니까? 원컨대 그에 대한 말씀을 듣고 바로 알고자 합니다.”
강태공이 대답하셨다.
“부귀는 성인의 덕과 같아서 모두 천명에서 비롯됩니다.
부자는 쓰는데 절도가 있지만, 
부유하지 않는 자는 집안에 열 가지 도둑이 있습니다.”

12
무왕이 말씀하셨다.
“무엇을 열가지 도둑이라 합니까?”
강태공이 대답하셨다.
“시기 따라 익은 것을 거둬들이지 않음이 첫 번째 도둑이요,
거둬들이고 쌓는 것을 마무리하지 않음이 두 번째 도둑이요,
일없이 등불을 켜놓고 잠자리에 드는 것이 세 번째 도둑이요,
게으름이나 피우면서 밭을 갈지 않는 것이 네 번째 도둑이요,
애쓰는 힘을 들이지 않는 것이 다섯 번째 도둑이요,
행실이 교활하고 해로운 일만 하는 것이 여섯 번째 도둑이요,
여자를 너무 많이 거느리는 것이 일곱 번째 도둑이요,
대낮에 잠을 자고 일어나기 게으른 것이 여덟 번째 도둑이요,
술을 탐하고 기호에 따라 하려는 마음이 아홉 번째 도둑이요,
지나치게 행동하고 질투하는 것이 열 번째 도둑입니다.”

13
무왕이 말씀하셨다.
“집안에 열 가지 도둑이 없는데도 부유하지 못한 것은 어째서입니까?”
강태공이 대답하셨다.
“그런 사람들 집에 세 가지 소모가 필히 있을 것입니다.”
무왕이 말씀하셨다.
“무엇이 소모되는 세 가지 입니까?”
강태공이 대답하셨다.
“창고가 새어 나가는데 막지 않아서 쥐와 새들이 마구 먹어대는 것이 첫 번째 소모입니다. 파종하고 수확하는 시기를 놓치는 것이 두 번째 소모이며, 낱알을 흘리고 함부로 다루는 것이 세 번째 소모입니다.”

14
무왕이 말씀하셨다.
“집안에 세가지 소모가 없는데도 부유하지 못한사람은 어째서 그러합니까?”
강태공이 대답하셨다.
“그런 사람의 집에는 반드시 一錯, 二誤, 三痴, 四失, 五逆, 六不祥, 七奴, 八賤, 九愚, 十强이 있어서 스스로 그 화를 부르는 것이지 하늘이 재앙을 내리는 것은 아닙니다.”

15
무왕이 말씀하셨다.
“그에 대해 전부 듣고 싶습니다.”
강태공이 대답하셨다.
“아들을 양육하면서 가르치지 않은 것을 첫째 그르침이라 하고,
어린 아이라고 타이르지 않은 것을 두 번째 잘못이라 하고,
새 며느리를 맞이하는 처음부터 엄히 가르치지 않은 것을 세째 어리석음이라 하고,
말하기도 전에 웃음부터 짓는 것이 네번째 실수라 하고,
부모를 봉양하지 않는 것이 다섯 번째 거스르는 것이라 하고,
야밤에 알몸으로 일어나는 것이 여섯 번째 상서롭지 못함이라 하고
남의 활을 당기는 것을 좋아하는 것이 일곱 번째 노예의 버릇이라 하고,
남의 말을 빌려타기 좋아하는 것이 여덟 번째 천박함이라 하고,
남의 술을 얻어마시면서 남에게 술을 권하는 것이 아홉 번째 근심이요,
남의 밥을 얻어먹으면서 친구를 구명한다고 하는 것이 열 번째 뻔뻔스러움입니다.”
무왕이 말씀하셨다.
“참으로 훌륭하고 진실로 옳은 말씀입니다.” 

다른 화

목록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