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0
00:00

1. 말과 생각으로 닿을 수 없는 그것

도라고 할 수 있는 도는 진정한 도가 아니고,
부를 수 있는 이름은 진정한 이름이 아니다.
이름없는 것들이 천지의 시작이고,
이름있는 것들은 만물의 어머니다.
그러므로
애초에 ‘무언가 하려는 마음이 없는 것’은 그것의 현묘함玄妙을 본 까닭이고
애초에 ‘무언가 하려는 마음이 있는 것’은 그것의 언저리만 본 까닭이다.
없음[無]과 있음[有], 이 둘은 한 가지에서 나와 이름을 달리하는데,
유와 무를 함께 지칭하는 말을 ‘현玄’이라고 한다.
현묘하고도 현묘하니, 온갖 묘한 도리와 통하는 문이 된다.

 


2. 상대적인 개념을 벗어나 천지만물의 시작인 그것

세상에서 아름다움에 대해
모두가 어떤 것을 아름다운 것으로 알고 있다면
이는 아름답지 못한 것이 따로 있다는 말이다.
세상에서 선함에 대해
모두가 어떤 것을 선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
이는 선하지 않는 것이 따로 있다는 말이다.
그러하듯
있음[有]과 없음[無]은 서로[相]가 있기에 생겼으며
어려움과 쉬움도 서로가 바탕이되어 이루어지며,
길고 짧음도 서로가 바탕이되어 견줄 수 있으며,
높고 낮음도 서로가 바탕이되어 결정되며,
음률과 소리도 서로가 바탕이되어 어우러지며,
앞 뒤의 순서도 서로가 바탕이되어 정해진다.
〔이렇게 상대되는 말들은 함께 생겨났으면서도 서로가 바탕이 되어 이름을 달리하는 까닭에〕
성인들은
〔아름답다 추하다거나 있다 없다거나 이러한 상대되는 개념으로 판단하지 않고〕
무위로써 만사에 임하며
말없는 가르침을 행한다.
천지만물은 만들어내면서도 가타부타 말이 없으니,
낳았으면서도 소유하지 않고,
하고 나서도 으스대지 않고,
공적이 이루어져도 안주하지 않는다.
어디에도 마음을 두지 않을 뿐이기에 도를 떠나지 않는다.

 



3. 무위로써 백성을 다스리는 성인이 떠나지 않는 그것

성현을 떠받들지 않으면 백성들이 현자를 운운하며 다투지 않게 되고,
얻기 힘든 재물을 귀하게 여기지 않으면 백성들도 훔치려 들지 않는다.
욕심낼만한 것들을 보지 않으면 백성들 마음도 어지럽지 않은 것이다.
그러므로 성인의 다스림이란
백성의 번잡한 마음은 비워주되
백성의 배를 채워 주고,
백성의 포부는 약하게 하되
백성의 근골을 강하게 하는 것이다.
언제나 백성들로 하여금
알고 싶은 것도 하고 싶은 것도 없게 해야하니,
똑똑한 사람들이 함부로 나서지 못하게 하고,
무위로써 다스린다면 다스리지 못할 것이 없다.

 


 

4. 충 - 써도 써도 모자라지 않는 현묘한 그것


도는 텅 비어
〔허공과도 같으니〕 
아무리 쓰더라도 넘치지 않는다.
깊고도 깊구나! 
만물의 근본과 맞닿아서
날카로운 것은 무디게 하고, 
뒤엉켜진 것은 풀어 주고,
번쩍이는 것은 부드럽게 하고,
〔세상의 더럽고 하찮은〕 어지러운 세상과도 함께 하는구나!
깊고도 깊구나!
간혹 있는 듯 보이기에
나도 ‘도’가 누구의 자식인지 모르지만
상제이신 조물주보다도 앞선 것 같구나!


5. 담아두지 않고 비어있기에 더 내어놓는 그것

천지는
〔우리가 생각하는〕
인정이 없어서
만물을 지푸라기 인형 쯤으로 무심히 여기며,
성인도
〔우리가 생각하는〕 인정이 없어서
백성을 지푸라기 인형쯤으로 무심히 여긴다.
하늘과 땅 사이는 속이 빈 풀무나 피리같구나!
텅 비어있어도 구부러지지 않고,
움직일수록 더 내어놓는다.
〔천지는 인정이 없어서 담아두는 것이 없으니 오히려 텅비어 더 내어놓을 수 있지만,
사람은 인정에 머물게 되니, 듣고 아는바에 연연하면서 오히려 제약이 많아지니〕
듣고 담아둔 것이 많아 곤란함만 잦아지니, 마음에 간직해 채우지 말아라.

다른 화

목록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