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0
00:00


38. 상덕부덕 - 최상의 덕은 꾸며지지 않는다

최상의 덕은 덕이라고 내세우지 않으니 ‘덕이 있다’ 하고
최하의 덕은 덕을 저버린 적 없다 하니 ‘덕이 없다’ 한다.
최상의 덕은 별다른 의도가 없으니 목적하는 바가 없으며,
최상의 인仁 은 하려는 의도는 있으되 목적하는 바가 없으며, 
최상의 의義는 하려는 의도도 있으며 목적하는 바가 있으며,
최상의 예禮는 하려는 의도가 있으며 예를 따르지 않으면 팔을 걷어 붙여서라도 따르게 해야한다.
그러므로
도를 잃고 난 후에야 덕이 남고,
덕을 잃고 난 후에야 인이 남고,
인을 잃고 난 후에야 의가 남고,
의를 잃고 난 후에야 예가 남는다.
이렇듯 ‘예’라는 것은
충성과 믿음이 옅어진 것이니
어지러운 혼란의 시작이 된다.
앞일을 예측하는 것은
‘도’를 번드르하게 포장한 것이니
어리석은 우환의 시작이 된다.
이 때문에 대장부는
두터움을 지키고 충성의 믿음이 얄팍한 ‘예’에만 머물지 않으며,
진실됨을 지키고 예언이라는 겉포장의 화려함에 머물지 않는다. 
그러므로 얄팍한 ‘예’나 예언과 같은 그럴듯한 화려함은 거부하고, 진실한 ‘도’를 취한다.


39. 겸허한 덕을 얻어 천하를 다스린다

오래전 한 물건을 얻었다고 하는데,
하늘은
하늘은 그 하나를 얻어서 깨끗하고 
대지는 그 하나를 얻어서 편안해지고
신령은 그 하나를 얻어서 영험해지고
계곡은 그 하나를 얻어서 채워지고,
만물은 그 하나를 얻어서 생겨나고,
임금은 그 하나를 얻어서 천하를 다스리니, 
그 모두가 ‘그 하나’에 닿은 것이다. 
하늘이 깨끗하지 않으면 찢겨 쏟아져 내릴까 두렵고, 
대지가 안정되지 않으면 갈라져 흔들릴까 두렵고,
신령이 영험하지 않으면 사라져 버릴까 두렵고, 
골짜기가 채워지지 않으면 바싹 마를까 두렵고,
천지만물이 생겨나지 않으면 멸종될까 두렵고,
임금이 고귀하지 않으면, 나라망할까 두렵다. 
그렇기에
귀한 것은 천한 것을 바탕으로 하고
높은 것은 낮은 것을 근본으로 한다.
이러한 까닭에
임금은 스스로를 가리켜
‘외로운 사람',‘부족한 사람',‘보잘 것 없는 사람’이라고 부른다. 
이것이 천한 것을 근본으로 삼는 것이 아니겠는가?*邪아니그런가?
그러므로 운수가 다하면, 명예도 명예롭지 않으니
옥같이 빛나려고 하지 말며
돌멩이처럼 평범해야 한다.  


40. 도는 돌고 돈다

반복함은 도의 활동이고
미약함이 도의 작용이다.
천지만물은 ‘유’에서 생기고,
‘유’는 ‘무無’에서 생긴다.


41. 최상의 도는 드러나지 않고 최상의 덕은 모자란듯 하다

최상의 선비가 도를 들으면 부지런히 행하고
평범한 선비가 도를 들으면 믿는 듯 마는 듯하고
하열한 선비가 도를 들으면 크게 웃어 버린다.
웃음거리가 못되면 도가 되기 부족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런 말이 생겨났다. 
밝은 도는 어두운 것 같고
나아가는 도는 물러나는 것 같고
평탄한 도는 치우친 것 같다. 
최상의 덕이기에 낮은 골짜기가 되고,
결백한 덕이기에 치욕으로 여기고
드넓은 덕이기에 부족하다 여기고
굳건한 덕이기에 야박한듯 보이고 
솔직한 덕이기에 구차한듯 보인다. 
크게 두루하면 모서리가 없어지고,
정말 큰 그릇은 늦게 이뤄지고,
정말 큰 소리는 드물게 들리고,
정말 큰 징후는 드러나지 않는다.
도는 숨어있어 이름조차 없다.
그저 도일 뿐,
지혜롭게 빌려 써서 천지만물을 이루어낸다.

 

42. 덜어냄으로써 넉넉해지다

도는 하나를 낳고 하나는 둘을 낳고
둘은 셋을 낳고 셋은 만물을 낳는다.
만물은 음陰을 짊어지고 양陽을 끌어안아
겸허한 자세로 조화를 이룬다.
사람들이 싫어하는 것들은
외롭다거나 모자라거나 볼품없는 것인데,
이러한 고孤, 과寡, 불곡不穀과 같이 존귀함을 상하게하는 말들이
임금이나 제후들의 호칭이 되었다.
그러므로 천지만물은
때로는 덜어냄으로써 넉넉해 지고
때로는 더함으로써 상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치는〕
남들이 내게 가르쳐준 것이고,
나 역시 다른 이에게 가르치는 것이다.
대쪽같이 꼿꼿하면 제 명에 죽지 못하는데,
그것을 나는 스승으로 삼으련다.
 

 

다른 화

목록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