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원각장 : 수행의 절차와 지침
이 때에 원각 보살이 대중 가운데서 일어나 부처님의 발에 이마를 조아려 예배하고 존경의 표시로 우측으로 세 번 돌며 두 무릎을 땅에 대고 두 손을 모으면서 부처님께 사뢰었다.
크게 자비로우신 세존이시여, 우리들을 위하여 널리 청정한 원각의 여러 방편을 설하시어 말세의 중생으로 하여금 큰 이익이 있게 하셨습니다.
세존이시여, 지금 우리들은 이미 마음을 깨쳤으나, 부처님이 열반하신 후 깨달음을 얻지 못한 말세의 중생은 어떻게 안거해야 이 원각의 청정한 경계를 닦겠습니까. 이 원각의 세 가지 청정한 관(觀)에서 무엇을 그 으뜸으로 삼아야 합니까. 오직 바라옵건대 큰 자비심으로 모든 대중과 말세의 중생을 위하여 큰 이익을 베풀어 주옵소서.
이 말을 마치고서 오체투지하며, 이와 같이 거듭 세 번 청함으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간청하였다.
그 때에 세존께서 원각 보살에게 말씀하셨다.
착하고 착하도다 선남자여, 너희들이 능히 여래에게 이와 같은 방편을 물어 큰 이익을 모든 중생에게 베푸는구나. 너희들은 자세히 들어라. 마땅히 너희들을 위하여 설하리라.
그러자 원각 보살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들어 환희하며 모든 대중들과 함께 묵연히 부처님의 말씀에 귀를 기울였다.
선남자여, 부처님이 세상에 계실 때나 아니면 열반하신 뒤, 또는 말법의 시대에 대승의 성품을 갖춘 모든 중생이 부처님의 비밀한 대원각(大圓覺)을 믿는 수행자가 되고자 그들의 수행처에서 대중과 함께 공부한다면, 인연 있는 방편이 있기에 그것을 따라 살펴 공부하는 것은 내가 이미 설한 것과 같다.
만약 여기에 다른 인연이 없다면 곧 도량을 건립하고 기한을 정해야 할 것이니, 장기는 120일이고 중기는 100일이며 단기는 80일로 해야 한다. 청정한 수행의 도량에서 이 기간 동안 부처님이 생존하여 계신다면 그분의 가르침을 바르게 사유하여야 한다.
그 때가 부처님이 열반하신 뒤라면 부처님의 형상을 시설하고 부처님 살아 계신 모습을 보는 듯 바른 기억을 되살리되, 여래가 살아 계실 때와 똑같이 수행하여야 한다. 모든 깃발과 꽃들을 내걸고 21일이 지날 때까지, 시방세계 모든 부처님의 명호에 머리 조아려 예배하고 간절한 참회를 구한다면, 좋은 경계를 만나 마음이 상쾌하고 편안할 것이다. 21일이 지났더라도 이 생각을 한결같이 거둬 지녀야 한다.
만약 하안거 결제 때가 되어 삼 개월의 안거를 시작하더라도, 마땅히 청정한 보살의 경계를 가지고 성문의 경계를 떠나서 부질없는 대중에게는 휩쓸리지 말아야 한다.
안거일이 되면 곧 부처님 앞에 “저 수행자는 보살의 경계로 적멸한 행을 닦아 청정한 실상의 경계에 보살과 똑같이 들어가 머무르며, 대원각을 수행처로 삼고, 신심이 평등성지(平等性智)에 안거하여 열반의 자성이 번뇌에 얽매인 것이 없기에, 경건하게 청하옵니다. 제가 지금 성문에 의지하지 않고, 마땅히 시방의 여래와 대보살과 함께 삼 개월 안거하며, 보살의 무상묘각(無上妙覺) 대인연을 닦기 위하여 부질없는 대중에게는 휩쓸리지 않겠습니다”라고 말을 해야 한다.
선남자여, 이것을 보살의 안거를 나타내 보인 것이라 하니, 인연에 따라 결정된 기일이 지난다면 가는 곳마다 장애가 없을 것이다.
선남자여, 만일 말세의 수행하는 중생으로서 보살도를 구하고자 하나, 장기나 중기 또는 단기의 수행에 들어갈 사람이 저 말을 들은 바가 아니면 일체의 좋은 경계는 끝내 취할 수 없는 것이다.
선남자여, 만약 모든 중생이 사마타를 닦되 먼저 지극한 고요를 취하여 생각하는 마음을 일으키지 않는다면 고요가 지극함에 문득 깨우치게 된다. 이와 같이 처음의 고요가 한 몸에서 좇아 나와 한 세계에 이르니, 깨달음 또한 이와 같은 것이다.
선남자여, 만약 깨달음이 한 세계에 두루 원만한 것이라면 한 세계 안에 있는 한 중생의 한 생각 일으키는 것을 모두 다 알 수 있나니, 백천 세계 또한 이와 같은 것이다. 저 법문을 들은 바가 아니라면 일체경계는 끝내 취할 수 없는 것이다.
선남자여, 만약 모든 중생이 삼마발제를 닦되, 먼저 시방여래와 시방세계 일체보살이 여러 방편인 점차수행을 의지하여 부지런히 애써 닦은 삼매에서 널리 큰 원력을 발한다면 스스로 일체종지(一切種智)를 훈습하여 완성하니 이 말을 들은 바가 아니라면 일체의 좋은 경계는 끝내 취할 수 없는 것이다.
선남자여, 만약 모든 중생이 선나를 닦는다면 먼저 수식관(數息觀)을 취하여 나고 머무르며 변하고 멸하며 생주이멸(生住異滅)로 변하는 마음을 잘 헤아려 알아야 한다. 이와 같은 헤아림이 두루 원만하면 일상생활의 행주좌와(行住坐臥)에서 항상 일어나는 생각을 분별하여 알지 못할 것이 없어서 점차 이 힘이 증진되고, 백천세계에 떨어지는 한 방울의 빗방울도 알 수 있는 것이 마치 눈앞의 물건을 보듯 할 것이니, 이 말을 들은 바가 아니라면 일체의 좋은 경계는 끝내 취할 수 없는 것이다.
이것이 세 가지 관법을 처음 닦는 방편이니
만약에 모든 중생이 세 종류의 관(觀)을 두루 닦아서 부지런히 수행하여 정진한다면, 이는 여래가 세상에 출현한 것이라고 한다.
만약에 훗날 말세의 근기가 둔한 중생이 도를 구하고자 하나 성취할 수 없다면 옛날의 업장 때문이니, 마땅히 부지런히 참회하여 항상 희망을 가지고 먼저 증오와 사랑 및 질투와 아첨하는 마음을 끊어서 수승한 마음을 구하여야 할 것이다.
세 종류의 청정한 관법에서 하나를 골라 공부함에, 이 관법에서 공부를 성취하지 못했다면 다시 다른 관법을 수습하여야 할 것이니, 마음을 방일하게 버려두지 말고 점차 증득함을 구해야 할 것이다.
그 때에 세존께서 거듭 이 뜻을 펴시고자 하여 게송으로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원각 보살이여 마땅히 알라.
중생이 위없는 도를 구하려 하면
제일 먼저 공부하는 기간을 정해
무시이래 지은 업을 참회하면서
정해 놓은 삼칠일이 지난 연후에
바르고 바르게 사유를 하되
바른 법을 들은 것이 아니었다면
결국에는 이 경계를 취할 수 없다.
사마타의 지극히 고요한 선정
삼마발제 바른 모습 마음에 담아
선나로 들숨 날숨 밝히는 흐름
이것은 세 종류의 청정한 관법
부지런히 능히 이를 수습한다면
부처님이 이 세상에 출현하신 것
근기가 둔하여서 성취 못하면
무시이래 지어 왔던 일체 모든 죄
부지런히 마음 속에 참회를 해라.
일시에 모든 장애 소멸이 되면
부처님의 경계가 현전하리라.
0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