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화두는 반드시 선지식의 지도를 받아서 하라.
화두 안 배운 사람 없지? 흔히 보면 안 배운 사람 더러 있는데. 안 배운 사람은 이제 결정코 화두를 배워서 참선을 해야되지. 화두는 딴 것하고 달라서 우리 공부하는 수좌들의 생명이지. 생명인데, 지금 참선하는 사람 여러 수백 명 아니라 참 많이 봤어 근간에도 많이 봤거든. 많이 봤는데 그중에 어떤 사람이 있느냐 하면, 배우지도 않고 자기 마음대로 뭘 갖다 화두로 만들어하는 사람이 더러 있어. 자기 마음대로 책을 보다가 뭐 의심이 났다든지, 아니면 자기가 뭐 생각을 해서 만들어 가지고 하는 사람이 더러 있는데, 화두라는 것은 반드시 배워서 해야되지, 자기 마음대로 책을 보고 한다든지, 뭘 보고 생각해서 한다든지, 자기 마음대로 해서는 절대 안되는 것이야. 혹 상식이 좀 있는 사람들, 이런 사람들을 보니까, 책같은 걸 보고서 제일 마음에 드는 것을 들고 하는데, 어떤 때는 잘 안된다 말이여. 어떤 사람을 보면 하다가 병이 나는 수가 생긴다 말이여. 그러니 화두하다가 병이 나고 고민이 생기고 하는 것이, 배우지 않고 아무 지도 없이 자기 마음대로 하기 때문이다 이말이여. 자기 마음대로 화두를 갖다가, '나는 아무것도 안 배워도 자신 있다'고 자기 마음대로 하는 사람은 말이여, 설사 (화두한지) 몇 해가 됐다해도 화두를 다시 배워야되지, 자기 마음대로 뭘 갖다 (화두로 해서 하면) 공부가 안된다 말이여. 오래 하다보면 나중에 고장이 나고 이러거든. 어떤 사람은 큰 병이 나는 사람이 더러 있거든. 하지만 결국 모두 내버리고 새로 배워 가지고 하면 괜찮다 말이여. 그러니 화두는 배워서 해야되지 자기 마음대로 이래 선택하면 못쓴다 말이여.
2) 본래부터 참구하던 화두를 바꾸지 말라.
또 그전에도 보면 화두를 갖다 배우면 그 화두를 오래 계속 해야 되는데, 이 화두를 하다가 좀 안될라하면 저 화두 좀 배워 저 화두 좀 해보고...(하는 식으로) 자꾸 바꾸는 사람이 있단 말이여. 그래 그것도 못쓰는 것이여. 화두를 배워 가지고 하다가 보면 잘 안되거든? 또 하나 배워서 하면 잘될까 싶어서 다시 배워서 해본단 말이여. 해보면 처음에는 잘되는 것 같은데 나중에 좀 하다보면 도루묵이여. 안되는 것은 똑같다 그말이여. 그리고 어떤 사람은 화두를 몇 가지를 배워서는, 이놈 쪼금 해보다 저놈 쪼금 해보다 (그러는데), 그렇게 하면 죽도 안되고 밥도 안되고 아무 것도 안되는 것이여!
그러니 화두하는 방법이 첫째, 화두를 자기 마음대로 하지말고 배워서 할 것. 둘째는 하나를 배우면 좀 그대로 계속해야 되지 이리저리 화두를 변경시키지 말라 이 말이여. 변경시키면 안돼! 흔히 그런 사람 많거든. “하이구 스님, 이걸 해 보면 좋을성 싶은데 이걸 하고 싶은데...” “그래 해봐라” 얼마 안가서 말이지 “ 매 한가지입니다” 이러거든. 또 안되기는 마찬가지다 이말이여. 그전에 배워하던 그 공부만 혼돈되고 말거든. 그러니 화두를 갖다가 이리저리 갈지말라 이기여. 그러면 못써.
3) 공부의 표준 : 동정일여(動靜一如), 몽중일여(夢中一如), 숙면일여(熟眠一如)
또 화두를 하다가 깨쳤다고 와서 말하는 사람도 여러 수십 명 수백 명을 봤어요 어떤 젊은 수좌 하나는 말이야. 오대산 그쪽에 있다가 토굴지어 사는데, 한 해 여름에 그 천리길을 세 번이나 왔어. 신심이 참 있어. 보니까. 처음에 와가지고는 공부를 하다보니 자기가 깨쳤다고 그러길래 그건 아무것도 아니라고 말해줬어. 그래 다시 가서 공부하다보니까 또 뭐 알았는 것 같아. 아! 이번에는 참말로 깨쳤지 싶어 또 쫓아왔다 말이여. 세 번이나 오는 사람 봤어. 세 번이나! 내가 볼때는 아무 것도 아니야. 그래 그 사람뿐 아니라 흔히 보면 공부하다가 깨쳤다 이래 가지고 와서 묻는 사람 더러 봤거든. 더러 봤는데 깨쳤다고 하는 사람도 여러 수십 명 봤어. 그래서 공부하다 보면 인자 그냥 의심난다고 하는 사람도 뭐 지견이 나고 뭐 경계가 나타나고 하면 깨쳤다고 한다 말이여. 그런 사람은 아무리 내 몸이 고달프고 아파도 꼭 만나 줬거든. 만나 줬는데 여러 해를 그러다 보니 아무 소용없어! 그 사람들한테 무슨 이야기를 해도 소용없어. 처음에는 뭐 예! 예! 하더라도 아무도 내 말을 듣지 않는단 말이여. 자기 마음대로 해버려. 그래서 요새 근래 와서는 공부하다가 뭐 깨쳤다는 그런 사람들은 전부 그 다음부터 안 만나 주거든? 아무도 안 만나는데, 그래 바로만 깨치면 얼마나 좋노? 바로만 깨치면 말할 것 없는기라. 중간에 가다가 병이 난 것을 깨쳤다고 이러니... 그러니 공부라는 것은, 내 혼자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종문(宗門)에 불교 근본 법칙이 있어, 법칙이 있는데
응! 잠이 꽉 들어서도 일여한, 이 실지 寤寐一如라 하는기야. 꿈에서 일여한 것은 夢中一如라 하고 잠이 꽉 들어서 일여한 것은 숙면일여라 하는기여. 그때선 인자 깨쳐보니 몽중일여 들어가고, 숙면일여 들어가서 바로 깨쳤거든. 그래 설암스님이 인가를 했단 말이여. 그렇게 돼서만 바로 깨친 것이여!
요새 깨쳤다고 하는 사람들을 보면 말이여. 보면은 “마 그것은 그만 두고 니는 모든게 환한 것 같고 부처님보다 나은 것 같제?” 아! 석가 그까짓 것 뭐 똥만도 못하고, 지가 자기가 천하제일이라고 이러거든. “그래! 석가가 똥만도 못하고 금만도 못하든 그런 소리 하지말고 그럼 니 공부한 것이 보통 생활하는데도 일여하냐?” “아, 그건 안됩니다.” 이러거든? “ 아, 그럼 서서도 말하자면 보통 생활할 적에 일여하지 못한 그걸 가지고 부처님보다 낫다고 생각하나.” “그럼 뭘 갖고 아는데요?” “그래 공부라는 것은 동정에도 일여해야되. 동정에, 동할 때나 정할 때나 일여해야 되고, 몽중에도 일여해야 되고 숙면에도 일여해야되. 숙면에 일여해도 거기서 깨쳐야 공부지. 바로 깨친 것이지 그렇지 않으면 병이지 공부가 아니야.” “아! 그럼 큰일났네! 난 꿈에는 고사하고 일상생활에서도 안된다” 이러거든. ”그럼 너 어쩔래?“ ”그럼 스님 말 믿고“ ”이놈아 내 말이 아니여. 이건 이전 조사스님도 다 말씀하신거지. 이 도둑놈아. 내가 뭐 잘났다고 내가 내 법 세우면 되나? 응 자고로 어떤 큰스님이든지 잠이 꽉 들어서도 일여한 거기서 깨쳐야 참으로 바로 깨친 것이지, 그러기 전에는 절대 깨친게 아니라고 부처님도 그리 말씀했고 조사스님들도 다 그리 말씀했단 말이여. 잠이 꽉 들은 것은 고사하고 또 꿈에는 고사하고 동정에도 일여하지 않는 그것을 가지고 니가 뭘 깨쳤다고 할끼고? 그건 순전히 병난 것이지 깨친 것이 아니다, 그래 가만히 들어보니 마 지 공부는 틀려버렸거든? "아이고! 이전에 잘못 배운 것 같습니다. 그러면 그걸 가지고 표준을 삼고, 거---- 몽중에도 일여하고 숙면에도 일여한 거기에서 깨쳐가지고 오겠습니다."
아 그런 사람 더러 봤는데 동정일여 이건 보통 보면 쉬운 것 같지만 그것도 참으로 어려운기여. 동정일여가 뭐 쫓아다닐 때 저기 화두가 일여하던가? 응? 안 일여하단 말이여. 좀 지견이 났다고 하면, 화두는 있고 없고 하고 안하고 관계없이 일여한 경우가 더러 있어. 그래 난 이때것 봐도 몽중에 일여한 사람 난 아직 못봤어. 몽중에! 몇사람 인제 몽중에 좀 일여할라하는데 말이제, 그만 아이구마, 깨친기다 싶어 공부 안 했뿐다 말이여. 그러믄 그것은 나중에 도루묵이 되어 버리는 거야.
여기 우리 대중 한 번 생각해 봐라. 양심을 다. 그건 양심이 안 있겠나. 그까짓것 뭐 법문을 대답하고 뭐 법문을 알고 그것은 문제가 아니야. 그건 아무 소용, 그건 뭐 무슨 소리를 해도 소용없는 것이고 실지 내 공부가 말이여 돌아다니다 보면 알 것 아니여? 얘기할 때 밥 먹을 때 말이여. 동정에 일여라 하거든 얘기할 때 밥 먹을 때까지 얘기하는 소리지. 그 빼놓고는 아무리 분주하고 아무리 말한다면 또 바쁘고 아무리 몸뚱이를 아무리 움직이고 하더라도 그대로 간단이 없이 일여한 그런 경계가 있어. 동정일여 한 사람들 저기 저.......여간해서 되는게 아니야. 그기 그란데 한걸음 더 나아가서 한걸음 더 나아가서 몽중일여라하면 그건 참으로 어려운기여.몽중일여는 참으로 어렵단 말이여. 그건 참으로 어려운기여. 그래 몽중에 화두를 들어 되는 사람이 있거든. 손 한번 들어봐. 그 참 어려운기여.
4) 양심을 속이지 말라
그전에 인자 사람으로 치면 말할 수 없이 좋은 사람인데, 그 조실스님이 점잖은 분이야. 점잖은 분인데 그 조실스님하고 이것 저것 이야기 하다가 “실지 공부라는 것이 동중에 일여해야 되고 몽중에 일여해야 되고 숙면에 일여해야 되지 그렇지 않으면 안되는데, 스님 어떻습니까? 꿈에도 좀 뭐(一如)합니까?” 이렇게 물으니, 아이구 참! 꿈에도 안된다 하거든? 그런이 여럿봤어. “꿈에도 안되는 그걸 갖고 조실이라하면 되겠나” “그걸 말햇는데도 조실해라 자꾸 이라는데...” 그말도 옳거든. 암만 안할려고 해도 자꾸 와서 조실하라고 하니 할 수 없는게지. 꿈에도 안되는 그런 사람도 큰스남들 중에 보면 더러 있거든.
어떤 사람은 또 안그래. (물어보면) “그걸 말이라고 해? 난 벌써 숙면(熟眠一如의 境界)는 벌써 지나갔어!” 하지만 실지 내용은 안그렇거든? 내용은 안그런데 벌써 다 지나갔다고 한단 말이여. 그러면 그 사람과는 더 말도 못해. 그치만 자기 양심은 안있겠어? 예전 스님들이 다 그렇다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자면 그럴 수가 있다 그말이라!. 양심 있는 스님들은 참 꿈에도 안된다고 그래. 그런 말씀 많이 들었거든.
깨친다는 것은 (표준이 있는데도) 가다가 무슨 한 생각이 나면 한소식 했다하고, 까짓거 다 알아 버렸다하고 무슨 경계가 나타나면 부처나 달마보다 내법이 더 깊다 그러고 실데없는 망상을 가진단 말이여. 그러면 내 그런사람들한테 뭘 말하느냐? “動中에도 一如한가 夢中에도 一如한가? 잠 꽉 들어서도 一如하냐?” 이렇게 물어보면 다 그만 무너져 버리거든.
언제 한번은 큰법당 법문을 하고 내려오니까 웬 사람 하나 수좌가 나를 보고 절을 자꾸해. “와? 절을 와 하노?” 이러니께, “아이구 스님 법문을 하시는데 고마 一言之下에 廓徹大悟 했습니다!” “허 참 반갑네. 이 초단법칙이로구만. 그래 一言之下에 뭘 깨쳤길래 깨쳤다고 하노?”하니 온 천칠백 공안이 훤하다고 했싸. 그래 천칠백공안이 훤하고 그건 그만두고 지금 니 얘기하는 지금도 공부가 그대로 되냐? 가만 생각해 보니 얘기할 땐 없다 그래. “허허허! 에이 도둑놈의 자식아? 니는 마 공부 깨치는게 그런 것인줄 아나? 쌍놈의 새끼 말이여!” 그래가 몽둥이로 탕!탕! 때려줬제. “임마 그것이 공부 아니야. 우찌 가다보면 우찌 뭐 망상이 좀 생기고, 어떻게하다 경계가 조끔 비친단 말이지. 그기 깨친게 아니다 말이여 응? 동정일여 해가지고 몽정일여 숙면일여 한데서 깨쳐야지, 그렇지 않으면 깨친게 아니여. 이것은 내 법이 아니고 우리 불법근본은 거기 서가 있단 말이여” 그란께 당장 잘못했다고 해. 그리고나서 공부 열심히 하는 것을 봤는어.
5) 선방 밥 먹으려면
그래 공부란 것은, 공부하는체 하고, 묵언하고, 장좌를 했싸도 말이여. 속을 보면 動靜一如도 안되거든. 夢中에도 되는 사람 참 드물다 그말이여. 아무리 해도 우리가 인제 공부하고 저 선방밥을 먹을라면 몽중일여는 되야 그 선방밥도 먹을 수 있는 것이지. 아무리 가사를 입고 앉았다 해도, 속은 아무 것도 없는데 수좌라 할 수 없거든? 그러니 動中一如 夢中一如 熟眠一如가 표준이 되야한단 말이여. 그건 내 말이 아니고 우리 불법 선가의 근본생명이 내려오는 것이지. 이렇게 된 뒤에야 이제 화두 얘기를 해야 되.
그런데 보면 선방에 나온지 한 두철 안돼 말짱 다 깨치고는 자기 소견은 하나씩 다 있어서 자기가 석가 달마보다 낫다는 그런생각, 그런 망상 가진 사람이 쌨거든. 그런 병가진 사람들 쌨다는 말이여. 여기도 깨친 사람 안 쌨나? 속으로! 지 속으로 깨쳤다 그말이여. 바로 깨친게 아니고...
그러니 動中一如한지 夢中一如한지 熟眠一如한지 그걸 한 번 생각해 보란 말이여. 그 세 가지 조건에 안들었으면 깨친게 아니고 병이여. 그라믄 뭐 말할 필요도 없는 것이거든. 그러니 동종일여가 되고 숙면일여가 되려면 참 애를 많이 쓰야 되지 말이여.
6) 올바른 화두참구법 : 항상 어째서?를 넣어라
화두하는 방법이 잘못되면 안된다. 역사적으로 보면 무자화두를 그냥 “무”하는 사람이 많다. “불성이 있나 없나, 무 무, 무, 무,” 자꾸 무 하면 된다 이거라. 한가지 예를 들면 어떤 원로 스님이 웬 나이많은 노인하나가 참선한다고 앉았는데, 이리 꾸뻑 졸면서 무, 저리꾸뻑 졸면서 무, 자꾸 무만하면서 이리꾸뻑 저리꾸뻑 졸더라고 흉내를 내던데, 그런식으로는 만년을 해도 안돼! 자꾸 무무 하면서 꾸뻑 졸기만 하면 그 병이 제일 큰 병이라. 자고로 “무”이렇게 하라는 조사 스님네가 하나도 없었어.
무만 하면 그만이지 어디 딴거 뭐 있나 하는 소리 더러 들었는데, 예전 스님들이 다 말씀하시기를 조주인기도무? 조주는 어째서 무라 했나? 하는 식으로 어째서를 늘 너으라고 했어. 어떤사람은 어째서를 할 필요 있나? 하지만, 그렇지가 않아. 그냥 무 하거나, 그냥 정전백수자하거나, 그냥 마삼근하면, 그건 화두하는 방법이 잘못된 거라. 그렇게 해서는 깊이 못들어가 절대로.
7) 잘못된 공부법으로 인한 病의 사례
그러니깐 화두하는 방법이 잘못되면 그만 딴길로 들어가 버린단 말이여. 그럼 아무리 죽자고 애써도 헛일이여. 헛일이기만 하면 괜찮지, 도리어 병만 생기고 만단 말이여. 아까 내 말한 그 고봉 스님도 처음엔 그냥 무-햇거든, 그냥 무- 이렇게 3년을 해도 아무런 진척도 없고, 공부가 안된단 말이여. 그래서 자기가 出世한 뒤에는 무자를 못하게 했어. 그러니깐 수제자 중봉선사가 무자를 못하게 할 것이 아니라 무자를 참구하는 방법을 어째서 어째서 어째서 무라했는가? 라고 고치면 된다이거라. 그래서 비록 그전에 그렇게 했다는 특별한 기록은 없지만 그전에도 다 그런식으로 했는데, 거기서 내려온거지, 내가 특별히 하는 소리가 아니야. 언제든지 무자화두할 때 어째서가 들어가지 않으면 공부가 안된다 이거야.
8) 參意와 死句라는 誤解
도 흔히 그냥 무-라고 하든지 그냥 정전백수자라고 하든지, 이렇게 하면 참구가 되고 어째서를 넣으면 參意가 된다고 하는데, 그건 미친소리구먼. 참의니 참구니 하는 것은 나중에 깨친 사람이 깨친 분상에서 이런말 저런말 한 것이지, 공부하는 사람은 그렇게 하면 못쓴다 이말이여. 그리고 그냥 무-하면 活句이고 어째서 하면 死句라는 소리도 듣는데, 이건 死句와 活句 참으로 꿈에도 모르고 하는 소리야. 그럼 조주 무자 같은건 예전 여러 큰스님들이 그걸 몰라서 어째서 무- 어째서 어째서, 이렇게 했을까?
0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