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0
00:00

경봉노스님 

 

뿌리의 티끌까지 벗어나는 것 비상한 일이니
고삐를 바짝 잡고 한바탕 일을 치러야 하네
매서운 추위가 한번 뼈에 사무치지 않았던들
매화가 어찌 코를 찌르는 향기를 얻을 수 있으리오. 

逈脫根塵事非常
緊把繩頭做一場
不是一番寒徹骨
爭得梅花撲鼻香  


경봉(鏡峰) 큰스님은 근세에 경남 양산의 통도사가 배출한 위대한 선사(禪師) 가운데 한분이었다. 
스님은 1892년 4월, 경남 밀양에서 태어나 일찍이 한문사숙에서 한학을 공부하다가 어머니 안동 권씨가 일찍 세상을 떠나자 16세의 나이에 인생무상(人生無常)을 절감하고 양산 통도사 성해 스님을 은사로 삭발 출가하였다. 

이후 경학(經學)이나 사찰소임에는 뜻이 없고 오직 참선수행에만 마음을 두었다. 그러나 사찰에서는 그에게 종무소 사무를 계속 맡기는지라 스님은 통도사를 탈출, 비장한 각오로 참선 수행을 시작했다. 

1927년 ‘이 뭣꼬’ 화두를 들고 참구하다 마침내 개오하여 ‘대자유’를 얻었다. 그 후 경봉 스님은 통도사 주지를 역임하면서 중생교화와 중창불사에 헌신하셨고 통도사 산내 암자인 극락선원에 조실로 머무시면서 눈푸른 납자들을 제접하셨다. 

1982년 7월 17일, 세수 91세, 법랍 75세로 열반에 드셨다. 
“나 죽은 뒤 내 모습이 보고 싶다면…
야반삼경에 대문 빗장을 만져 보거라.”
이 유명한 마지막 한 말씀을 제자들에게 남긴 채 세상과 인연을 접은 것이다.


누구나 알아듣기 쉽게 법문 

해방전후, 그리고 한국전쟁을 거쳐 1960년대, 1970년대까지만 해도 우리나라 민도(民度)는 부끄러울 만큼 낮은 수준이었다. 특히 1960년대까지는 전체 국민의 반 이상이 문맹자로 여겨질 정도로 문화 교육수준이 밑바닥을 맴돌고 있었고 겨우겨우 초근목피로 목숨을 이어가는 백성들이 대부분이었다. 
이 당시 그렇지 않아도 한문으로만 되어있던 불경, 한문으로만 독송하는 의식, 어려운 한문용어로만 전해지던 스님들의 설법 때문에 불교는 그야말로 불교가 아닌 채 ‘불공이나 올리고’, ‘소원성취나 비는’ 기복종교에 머물고 있었다. 

이 당시 절에 가보아야 보통 백성들은 스님의 설법이 무슨 말씀인지 도무지 알아들을 수 없는 ‘머나먼 말씀’일 뿐이었다. 

그러나 바로 이 당시, 경봉 스님은 누구나 재미있고 쉽게 부처님의 말씀을 풀어서 설법해 ‘뭐가 뭔지도 모르고 있었던 불교신자들’에게 부처님의 바른 가르침을 제대로 전해주고 있었다. 

“안이비설신의(眼耳鼻舌身意)라는 여섯 가지가 다른 것이 아닌기라. 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눈, 귀, 코, 혀, 몸 그리고 생각을 가리켜서 육근(六根)이라고 하는긴데, 알고 보면 이 여섯 가지가 사람을 망치는 도둑놈들인기라. 

그래서 부처님이 이 여섯 가지 도둑놈들을 제대로 잘 단속하라고 이르신게야. 

눈도 도둑이요, 귀도 도둑이요, 코도 도둑이다. 이 도둑놈들이 하자는 대로 끌려가면 그 사람은 신세를 망치게 되는기라. 그러니 여러분들은 지가 갖고 있는 몸속의 여섯 도둑놈들을 잘 다스려야 하는기라. 내 말을 알아 듣겠는가?” 

이토록 쉽고 시원한 법문 덕분에 통도사 극락암에는 늘 불자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물처럼 살면 후회없으리 

경상남도는 물론, 인근의 부산에 살고 있는 불교신도. 멀리는 서울에 살고 있는 불교신도들까지 기를 쓰고 저 멀고 먼 양산 통도사 극락암까지 찾아간 이들은 바로 그 깊은 산속 암자에 영축산의 대선사 경봉 스님이 앉아 계셨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경봉 스님을 만나 뵙고 스님의 법문을 듣고 나면 이 세상 근심걱정이 사라지는 즐거움을 맛볼 수 있기 때문이었다. 

경봉 스님은 영축산 약수터에 다음과 같은 글귀를 돌에 새겨두고 신도들로 하여금 약수를 마시면서 그 글귀를 음미토록 하였고, 이 유명한 글귀가 자살하려던 수많은 중생들을 살려냈다는 전설 아닌 전설을 만들어냈다. 

영축산 약수터에 경봉 스님이 새겨둔 글은 다음과 같다. 

“이 약수는 영축산의 산 정기로 된 약수이다.
나쁜 마음을 버리고 청정한 마음으로 먹어야 모든 병이 낫는다.
물에서 배울 일이 있으니, 사람과 만물을 살려주는 것은 물이다.
갈 길을 찾아 쉬지 않고 나아가는 것은 물이다.
맑고 깨끗하며 모든 더러움을 씻어주는 것이 물이다.
넓고 짙은 바다를 이루어 많은 고기와 식물을 살리고 되돌아 이슬비가 되나니 사람도 이 물과 같이 우주만물에 이익을 주어야 한다.
영축산이 깊으니 구름 그림자가 차갑고 낙동강 물이 넓으니 물빛이 푸르도다.” 

영축산을 오르던 고해중생들이 이 약수터에 이르러 감로수로 목을 축이고 나서 경봉 스님이 써놓으신 이 글귀를 보고도 새로운 인생의 길을 찾지 못했다면 그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그러나 바로 이 영축산 약수터의 ‘물 법문’ 이야말로 이 세상 모든 중생들이 마음속에 새겨 맛있는 인생을 살도록 생각을 바로잡게 해주고 있다. 

물처럼 사노라면 결코 후회 없으리!
오직 참선수행에만 평생을 매달렸고 한겨울에도 끝없이 밀려오는 졸음을 막으려고 개울에 얼어붙은 얼음덩이를 깨어다가 입에 물고 수행을 강행, 젊었을 때 치아를 거의 다 버린 상태였다. 

스님이 노인이 되셨을 때 스님의 치아가 너무 부실하여 음식을 제대로 잡숫지 못하자 제자와 신도들이 돈을 모아 의치를 해드리려고 했더니 스님은 한사코 손을 내저으셨다. 

“늙은 중이 갈비를 뜯어먹을 일도 없는데 틀니를 해 박아서 무엇하노. 그 돈 따로 쓸데가 있으니 차라리 나한테 현찰로 다고.” 

그리고 스님은 틀니를 해 넣으시라고 신도가 놓고 간 돈을 가난한 신도를 위해 찔러 넣어 주었다. 

“집에 갈 때 양식이라도 좀 사가지고 들어가거라.” 

경봉 스님은 평소 당신께서 불자들에게 당부하신 그대로 ‘물처럼’ 사시면서 우주만물을 이롭게 하고 계셨던 셈이었다. 

 

중생의 앞일까지 내다본 선지식 

 통도사에 주석할 당시 경봉 스님은 배춧잎 한장도 아껴 썼다. 

“시주물 무서운줄 알아야 한다” 

통도사 극락암의 경봉노스님은 사중(寺中)의 물건을 어찌나 아끼는지 구두쇠로 널리 알려질 정도였다. 
심지어 공양간에 두고 써야 할 고춧가루, 깨소금, 참기름을 극락암 공양간에서는 구경할 수 없었다. 고춧가루통, 깨소금통은 말할 것도 없고 참기름병까지 조실스님이 당신의 방 벽장에 넣어놓고 그날그날 필요할 때만 잠시 꺼내주면서 일일이 관리를 하고 계셨다. 

어느날, 통도사의 다른 산내암자에 있던 비구니들이 극락암으로 경봉스님을 찾아뵈었다가 점심공양 때가 되어 공양준비를 하게 되었다. 그런데 아무리 찾아보아도 공양간에 고춧가루통도, 깨소금통도, 참기름병도 없었다. 
한 비구니가 조실스님께 여쭈었다. 

“스님요, 고춧가루가 어디 있습니까?”
“고춧가루 예 있다. 너무 많이 치지 마라.”
“스님요, 깨소금통도 안보이는데요?”
“그래, 깨소금도 예 있다. 조금만 쳐라.”
“참기름도 여기 있다. 한방울만 쳐라.”
“아이구 스님요 왜 이런 양념까지 조실스님이 방안에다 놓고 쓰십니까? 공양간에 내 놓고 쓰게 하셔야지요.”
“모르는 소리 말거라! 이 귀한 양념들 저놈들한테 맡겨 놨다간 큰 일 난다. 일주일 동안 이 참기름을 써라 하고 맡겼더니 이틀만에 다 쳐먹어버렸다. 그래가지고 절 살림 어찌 살겠노?” 

그래서 경봉스님은 양념통에 참기름병까지 당신께서 일일이 간수하시며 “적게 써라”, “조금만 넣어라”, “한방울만 쳐라” 노래를 부르듯 하셨다. 시주물로 들어온 것이니 쌀 한톨, 고춧가루 하나, 배춧잎 한 장도 무서워할 줄 알아야 참된 수행자라는게 경봉스님의 가르침이었다. 

그러시면서 경봉스님은 법상에 올라가 어느날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들려주셨다. 
“일본 조동종의 사찰에서 실제로 있었던 일인기라. 
한 수좌가 보자니까, 살림을 맡고 있는 원주 스님이 매일밤 자정쯤 되면 아무도 모르게 무엇을 끓여서 혼자만 먹는 것이었다. 그래, 수좌가 조실스님께 이 사실을 일러바쳤다. 그 말을 들은 조실스님이 그날 밤 숨어서 지켜보고 있노라니, 과연 원주스님이 한밤중에 혼자 일어나서 남모르게 무엇을 끓여 먹는 것이었다. 그때 조실스님이 ‘이 것 봐라, 너 혼자만 먹지 말고 나도 좀 먹어보자’ 했더니, 원주가 별수없이 먹던 것을 조금 나누어 주었다. 그래 그걸 먹어보니 냄새가 고약해서 먹을 수가 없었어. 그래서 조실스님이 ‘이게 대체 무슨 음식이냐?’고 원주에게 물었더니, 그제서야 원주가 할수없이 대답하기를 ‘공양주들이 누릉지와 밥풀을 아까운줄 모르고 하수도에 버리니, 그걸 주워다가 끓여먹는 것입니다’고 대답하는 것이었다. 원주소임을 맡았으면 그만큼 쌀 한톨, 밥풀 하나라도 귀하고 소중하고 무섭게 알아야 하는기라. 그래서 선문(禪門)의 규범에 이르기를 ‘한 낱의 쌀이 땅에 떨어져 있으면 나의 살점이 떨어진 것과 같이 여기고, 한방울의 간장이 땅에 떨어지면 나의 핏방울이 떨어진 듯 생각하라’고 이른 것이야.“ 

“묘엄 같으면 얼마든지 캐라” 

경봉스님이 머물고 계시던 극락암 대밭 앞에는 절에서 가꾸는 고소밭이 있었다. ‘고소’라는 채소는 스님들이 즐겨 드시는 채소인데 처음 먹으면 빈대냄새가 나서 먹기가 힘들다. 그러나 한 번 두 번 먹다보면 그 독특한 향기와 맛에 ‘고소’를 다시 찾게 된다. 
어느날 극락암에 ‘청담스님의 딸’로 잘 알려진 묘엄비구니가 도반들과 함께 경봉스님을 뵈러 찾아왔다. 

“스님 그 동안 평안하셨습니까?”
“그래. 우짠일로 왔노?”
“스님요, 고소 몇 뿌리 얻어다 심을까 합니다. 몇 뿌리만 캐가게 해 주이소.”
“고소?”
“예 스님.”
“안된다.”
경봉스님은 한마디로 잘라버리셨다. 

대밭 앞에 저토록 많은 고소가 있는데 단 몇 뿌리만 캐다가 심겠다는데 일언지하에 안된다니, 과연 무서운 구두쇠 노스님이 아니신가? 묘엄이 다시 한번 스님께 통사정을 했다. 

“스님요, 몇 뿌리만 캐다가 심을테니 허락해 주이소 스님요.”
아직 나이 어린 묘엄이 이렇게 통사정을 하자 경봉노스님의 마음이 조금 움직였다.
“그래? 그럼 어디 내 보는데서 고소를 한번 뽑아 보거라.”
“아이구 감사합니더 스님.” 

경봉노스님의 허락이 떨어지자 묘엄은 합장배례하며 감사를 표하고 공양간으로 들어가 식칼을 가지고 나오더니 그 칼로 고소를 캐는게 아니라 그 칼로 대나무 쪽을 쪼개어 끝을 뾰족하게 깎은뒤, 그 대나무꼬챙이를 고소밭에 콕 찔러서 고소뿌리를 하나씩 솎아내고 뽑은 자리는 발로 꼭꼭 밟아주고 있었다. 이 모습을 보고 있던 경봉스님이 드디어 빙긋이 웃으시더니 한말씀 하셨다. 

“니 참말로 잘한다. 그렇게 얌전하게 제대로 캐갈라면 한소쿠리라도 캐가거라.”
“아이구 스님, 우짠 일이십니까?”
“내가 와 안된다고 했는줄 아나? 고소 몇 뿌리만 뽑아가겠다고 해서 허락해주었더니, 호맹이로 지멋대로 파 뒤비놓고 고소밭 다 망쳐놓고들 안가나. 그래서 마 속이 상해서 안된다고 한기다. 그런데 니는 참 아가 됐는기라. 너같이 그리 얌전하게 뽑아갈라면 얼마든지 뽑아가거라. 요 다음에도 얼마든지 뜯어다 묵어라.” 

“아이구 스님 감사합니다.”
“아이다. 하는짓이 이쁜데 무엇이 아깝겠노.” 

경봉노스님은 그런 분이셨다. 제대로 된 수행자에게는 아까울 것이 아무것도 없었다. 그러나 제대로 되어 먹지 못한 사람에게는 경봉스님은 송곳 꽂을 땅도 허락지 않는 무서운 분이었다. 

“너는 30살 되면 환속하겠고, 나는 40이 되면 속환이 되겠고, 또 니는, 5,6년 못가서 중노릇 그만 두겠다!” 

경봉스님은 당신을 찾아온 사미니들에게 인정사정없이 그렇게 단언을 하셨고, 그 무서운 예언은 훗날 모두 사실로 입증되었다. 스님의 예언대로 모두들 환속하고 말았던 것이었다. 경봉스님은 중생들의 미래까지도 정확히 내다보고 계신 셈이었다. 

귀에 쏙쏙 들어오는 알기쉬운 명설법 

옛날이나 지금이나 귀에 쏙쏙 들어오는 알기쉽고 재미있는 설법을 해주는 스님을 만나기가 쉽지 않다. 

그렇지 않아도 불교경전이나 해설서까지도 이해하기 어려운 한문투성이라 보통 백성들은 읽기도 어렵고 알아보기도 어려운데 스님들의 설법은 더더욱 어려운 한문구절을 끝없이 늘어놓는 경우가 많아 자칫하면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로 들릴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통도사 극락암의 경봉 큰 스님이 펼쳐주시는 설법은 그야말로 귀에 쏙쏙 들어오는 알기쉬운 명설법이었고, 경봉 큰 스님이 쓰신 글 또한 누구나 단박에 이해할 수 있는 명문이었다.

안이비설신의가 모두 도둑이다 

극락암 대중법회에서 경봉 큰 스님이 법좌에 오르셔서 주장자를 세 번 치고 다음과 같이 설법하셨다. 

“눈, 귀, 코, 혀, 몸, 뜻 이것을 여섯 도둑이라 한다. 눈은 온갖 것을 다 보려한다. 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좋은 것을 보면 자기의 물건으로 만들려고 하는 욕심이 생기니, 눈은 눈도둑놈이라 한다. 귀로는 사람소리, 물소리, 바람소리 등등 온갖 소리를 다 들으려고 한다. 코는 온갖 좋은 향기를 다 맡으려 한다. 혀로는 온갖 것을 다 맛보려 한다. 몸 도둑놈은 좋은 촉감과 좋은 옷을 다 입으려 한다. 뜻 도둑은 온갖 것을 다 분별한다. 

예전에 어떤 부인이 옷에 욕심이 많아서 어디 외출을 할 때는 더러운 옷을 입으면서도 옷장속에는 아주 좋은 옷을 꽉 채워놓고 살았는데, 죽은 뒤에 옷장을 열어보니 옷뿐이 아니고 버선이 한번도 신지 않은채 잔뜩 쌓여 있었다. 살았을 적에는 떨어진 옷, 해어진 버선만 신고 아껴 두었던 것을 죽은 뒤에는 누가 그것을 다 입었는지 알 수도 없는 일이다. 참으로 어리석은 것은 인간의 탐욕인 것이야. 

이것들을 모두 도둑이라 하지만 잘 교화시키면 눈 도둑은 변해서 일월광명세존이 되고, 귀 도둑은 성문여래 부처님이 되고, 코 도둑은 향적여래 부처님이 되고, 입 도둑을 잘 교화시키면 법희여래 부처님이 되고, 몸 도둑을 잘 교화시키면 비로자나 부처님이 되고, 뜻도둑을 잘 교화시키면 부동광여래가 된다. 이 여섯 도둑이 여섯 부처님이 되는 것이지. 이렇게 여섯 부처님이 되면 그 사람이 완전한 인격을 갖춘 사람이 아니겠는가?“ 

어느 날 통도사 극락암에 찾아온 신도가 경봉 큰 스님께 한마디 여쭈었다. 

“마 우리 같은 중생들은 자고나면 그놈의 돈 때문에 울고 웃고 한평생을 돈의 노예가 되어 살고 있는데 말씀입니더, 스님께서는 이 돈을 어떻게 보고 계십니꺼?” 

“돈을 어떻게 보느냐? 마 나는 돈을 관세음보살로도 보고, 마구니로도 보고 그렇지.” 

“돈이 관세음보살님도 되고, 마구니도 된다구요?” 

“그래. 병든 사람에게 약을 사 먹이는 돈은 관세음보살님이고, 굶고 있는 사람에게 양식을 사다 먹이면 그런 돈은 바로 관세음보살님인기라. 그리고 호화방탕 하는데 돈을 펑펑 쓰고, 도박, 노름하는데 펑펑 쓰고, 그 돈을 차지하려고 속이고 때리고 죽이니, 그런 돈은 마구니가 되는 게야.” 

“아 예, 그래서 관세음보살님도 되고, 마구니도 된다 그런 말씀이시네요.” 

“한마디로 해서 돈을 잘 쓰면 관세음보살님이요, 돈을 잘 못쓰면 마구니인 게야.” 

그렇게 말씀하신 경봉 큰 스님은 옛날 어느 선비가 지었다는 ‘돈 타령’을 신도들에게 들려주시는 것이었다. 

“돈이란 무엇이던고?/천하를 주행해도 어디든 환영이네./나라와 집을 일으키는데 그 힘이 막중하고, /갔다간 돌아오고, 왔다가도 또 나가며/산 것을 죽이고, 죽은 것도 살리네./구차히 구하려면 장사힘으로도 안되고/잘만 쓰면 논무지랭이도 명사가 되네./부자는 잃을까 겁내고, 가난뱅이는 얻기가 소원이니./이것 때문에 얼마나 많은 사람이/백발이 되었던고?” 

“아이구마 스님, 참말로 그럴듯하네요.” 

“그러니 느그들은 마 돈을 항상 부처님으로 알고 좋은 일에 잘 쓰고 살아야 하는기라. 내 말 알겠지?” 

빈손으로 와서 빈손으로 돌아가니 

어느 날 경봉 큰 스님이 법좌에 오르셔서 주장자를 세 번 치시고 다음과 같은 설법을 내리셨다. 

“...(전략) 무슨 일을 하던지 너무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 우리가 부모 태 중에서 나올 때, 빈 몸, 빈 손으로 나왔다. 옛날 어떤 부자가 죽으면서 유언하기를 내가 죽거든 나를 상여에 싣고 갈 적에 내 손을 관 밖으로 내놓고 가게 하라”고 하셨다. 그래서 그 가족들이 상여를 메고 갈 적에 그대로 했다. 

이것은 무슨 뜻이냐 하면, ‘사람들아, 내가 돈도 많고, 집도 크고, 권속도 많지만 오늘 이때를 당해서는 어쩔 수 없이 이렇게 빈손으로 나홀로 가니 얼마나 허망한 일이냐!’ 이것을 일깨워 주려고 관 밖으로 손을 내놓고 간 것이야. 우리 모두 빈손으로 와서 또 그렇게 돌아간다. 

온갖 것 가져갈 것이라고는 하나도 없는데 오직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는 것은 자기가 지은 업 뿐이네.” 

 

67년 기록한 ‘삼소굴 일지’ 

경봉 큰 스님은 18세부터 85세까지 장장 67년동안 당신이 겪은 일들을 그날그날 ‘삼소굴 일지’ (三笑窟日誌)에 세세히 기록해 오셨는데, 불교근세사 측면이나 우리나라 사회측면사의 살아있는 자료가 아닐 수 없다. 

어느날 경봉 큰 스님은 신도들이 당신의 수의를 만드는 것은 직접 목격하시고는 다음과 같이 그 심경을 기록해 두었다. 

“....오늘 내 수의를 짓기 위해 보살들과 비구니들이 와서 옷을 지었다. 의복이라도 수의라고 하니 대중들의 마음도 이상하게 섭섭한 감이 든다고 하고, 나도 생이 본래 거래생멸이 없다고는 하지만 세상인연이 다해가는 모양이니 무상의 감이 더욱 느껴진다. 

금년 병오년에서 무진년을 계산하면 39년인데, 그동안 내가 받은 부고가 무려 6백40여명이구나. 이 많은 사람들이 다 어디로 갔는지, 한번 가고는 소식이 없구나, 옛 부처도 이렇게 가고, 지금 부처도 이렇게 가니, 오는 것이냐, 가는 것이냐. 청산은 우뚝 섰고 녹수는 흘러가네. 어떤 것이 그르며, 어떤 것이 옳은가! 찌찌찌찌. 야반 삼경에 촛불춤을 볼지어다.” 

 
 

다른 화

목록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