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당나라 시대에 배휴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쌍둥이로 태어났으나 등이 붙은 기형아였다. 부모는 아이들의 등을 칼로 나눈 뒤 약으로 치료하며 키웠고, 이후 살이 많이 붙었던 아이는 형이라는 이름으로, 적게 붙었던 아이는 동생이라는 이름으로 구분되었다. 형의 이름은 배도(度)였으며, 동생의 이름도 같은 글자(度)를 사용했으나 음이 달랐다. 형의 도는 '법도(度)'를 뜻하고, 동생의 도는 '헤아릴 탁(度)'을 지칭했다. 배휴라는 이름은 그가 어릴 때 형 배도가 장성한 뒤에 지어졌다.
배휴는 어려서 부모를 잃고 외삼촌의 집에 의탁해 살았고, 동생 탁은 어디론가 떠나 행방이 묘연했다.
어느 날, 도덕이 높기로 유명한 스님인 일행선사가 외삼촌 집에 들러 이야기를 나누었다. 문 밖에 있던 배휴는 우연히 자신에 관한 이야기를 들었다. 스님은 이렇게 말했다.
"저 아이는 누구입니까?"
"제 조카입니다. 부모가 없어서 제가 데리고 있습니다."
"그 아이를 내보내십시오."
"부모 없는 아이를 어떻게 내보냅니까?"
"제가 보니 저 아이는 원래 복이 없는 아이라 얻어먹을 인생입니다. 그런데 저 아이 때문에 동네 이웃 세 집이 모조리 가난해질 겁니다. 우선 이 집부터 망해야 저 아이가 얻어먹을 수 있으니, 미리 내보내는 것이 좋겠습니다."
스님의 말을 들은 배휴는 외삼촌에게 말했다.
"외삼촌, 저는 가야겠습니다."
"어딜 가겠다는 말이냐?"
"아까 스님의 말씀을 들었습니다. 제가 빌어먹을 운명이라면 일찍 떠나야지 외삼촌까지 망하고 떠날 수는 없지 않겠습니까? 지금 떠나 구걸하러 가겠습니다."
외삼촌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배휴는 떠났다. 거지가 되어 여기저기를 떠돌며 구걸하던 그는 어느 날 한 절의 목욕탕에서 '부인삼대'라는 귀한 보물을 발견했다. 그는 생각했다. '이렇게 귀한 물건을 누군가 잃어버렸구나.' 비록 자신도 구걸하는 처지였지만, 이 보물이 주인을 찾아가길 바라는 마음에 이를 지키며 기다렸다.
사실 이 보물은 사연이 깊은 물건이었다. 당시 고을 자사(刺使), 즉 지금의 도지사에게 죽을 죄를 지은 사람이 있었는데, 그 사람은 집안의 유일한 아들이었다. 그의 어머니가 아들을 살리기 위해 재산을 모두 팔아 먼 촉나라에서 이 귀한 부인삼대를 손에 넣었고, 이를 자사에게 바쳐 아들의 생명을 구하려던 참이었다. 바쁘게 절에서 목욕을 하고 떠났던 어머니는 보물을 두고 간 사실을 집에서야 깨닫고 허둥지둥 돌아와 절로 갔다. 그곳에는 한 거지가 서 있었다.
그 어머니가 거지에게 물었다.
"혹시 여기서 보물을 주운 사람이 있나요?"
배휴는 말했다.
"제가 그것을 발견해 두었습니다. 주인이라면 가져가십시오. 제가 주인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다른 누군가 같았으면 보물을 팔아 부를 얻으려 했을지도 모를 일이었다. 그러나 배휴는 주인을 찾아주었고, 이로 인해 그 어머니는 아들을 구할 수 있었다.
얼마 후 배휴는 외삼촌 집에 들렀다. 거기서 마침 일행선사를 다시 만났다. 스님은 말했다.
"얘야, 네가 정승(政丞)이 되겠구나."
배휴는 반문했다.
"스님, 전에는 제가 빌어먹을 운명이라 하더니 이제 와서 정승이라니, 무슨 말씀이십니까?"
"예전엔 네 얼굴 생김새를 보고 말했었고, 오늘은 네 마음을 보고 이야기한다. 그동안 무슨 일이 있었느냐?"
배휴가 자신의 여정을 이야기하자 스님이 말했다.
"그래서구나."하고 수긍을 하였다.
그 후, 배휴는 일행 선사의 말씀대로 결국 삼공의 영의정 지위에 올랐다. 어느 날, 그는 한 절에 들르며 그곳의 영각(스님들의 초상화를 모셔둔 곳)을 방문했다. 조사들의 초상을 살피던 그는 스님들에게 물었다.
"선사의 초상화는 저기 걸려 있는데, 정작 선사님들은 다 어디 계십니까?"
하지만 수백 명에 달하는 대중이 있었음에도, 누구 하나 답을 하지 못했다. 그러자 배휴는 물었다.
"이 절에는 도를 닦는 사람이 없습니까?"
마침 황벽선사가 절 근처의 토굴에서 수행 중임을 알게 된 대중은 그를 배휴에게 데려왔다. 배휴는 황벽선사에게 다시 물었다.
"선사의 초상화는 저기 있는데, 선사님들은 어디로 가셨습니까?"
이때 황벽선사는 천둥 같은 목소리로 "배휴야!"라고 불렀다. 깜짝 놀란 배휴가 "예." 하고 대답하자, 황벽선사가 큰 소리로 물었다.
"어디에 있느냐?"
그 순간, 배휴는 갑자기 깨달음을 얻게 되었다. 이후 그는 황벽선사의 도를 깊이 따르며 불교를 크게 후원하고, 불경에 서문도 작성했다.
시간이 흐르고 배휴는 한 나라의 정승이 되었지만, 형제였던 배탁의 행방만큼은 도무지 찾을 수 없었다. 아무리 수소문해도 소식이 묘연했기에 안타까운 마음만 깊어졌다.
그러던 어느 날, 여름의 무더위 속에서 황하강을 건너던 배휴는 뱃사공이 노를 저으며 상의를 벗고 있는 모습을 보고 깜짝 놀랐다. 등허리를 보니 자신의 것과 흡사했기 때문이다. 그는 사공에게 물었다.
"자네 이름이 무엇인가?"
"배탁이라고 합니다."
"그럼 내 동생 아니냐?"
"맞습니다."
"내가 지금 정승인 것을 모르나?"
"이미 알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왜 찾아오지 않았는가?"
"형님은 형님 복으로 정승이 되어 부귀영화를 누리시겠지만, 저는 형님 덕에 잘 살만한 일이 없었습니다."
동생은 형이 함께 가자고 설득했으나 끝끝내 따르지 않았다. 그는 이렇게 말하며 강물을 노저어 갔다.
"형님께서는 형님 나름의 복으로 잘 사시면 되는 것이고, 저는 이 넓은 자연과 강을 벗 삼아 사람들을 건네주는 삶이 더 낫다고 여깁니다."
배휴는 전생에 큰 수행을 쌓은 사람이고, 동생 배탁 역시 세속의 영광과 욕망에서 벗어난 고매한 경지의 마음을 가진 인물이었다. 함께한 과거를 돌아볼 때, 두 형제 모두 세상을 초월한 존재로 보였다.
《화엄경》의 십지품은 십지보살들이 큰 원력을 발해 마음을 깨끗이 닦아가는 가르침을 담고 있다. 보살들이 이 마음에 도달하기 위해 실천해야 할 열 가지의 길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남을 이롭게 하는 마음으로, 석가여래께서도 중생을 위하여 이 세상에 오셨습니다.
둘째는 유연하고 부드러운 마음으로, 부드럽고 선하며 화합해야 합니다. 마음이 편안해지면 기운이 편안해지고, 기운이 화하면 가정이 조화롭고, 가정이 화합하면 사회가 안정되며, 사회가 안정되면 국가가 평화로워지고, 그 가운데 무엇이든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셋째는 남을 따르고 어우러지는 마음으로, 다른 사람의 뜻을 존중하여 들어줄 수 있는 것은 기꺼이 베풀고 받아들이며 조화를 이룰 수 있습니다.
넷째는 고요한 마음으로, 바쁘게 움직이더라도 내면은 평온하게 유지하며 흔들리지 않는 고요함 속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다섯째는 나쁜 마음을 조율하고 다스리는 마음으로, 스스로의 어두운 생각이나 부정적인 행동을 제어하고 극복해야 합니다.
여섯째는 더욱 깊은 고요함으로, 내면의 평화를 지키는 것입니다.
일곱째는 겸손한 마음으로, 벼가 익으면 스스로 고개를 숙이듯, 도가 높아질수록 겸허함을 잃지 않고 더 훌륭한 사람일수록 낮은 자세를 가질 수 있어야 합니다.
여덟째는 윤택한 마음으로, 자신도 초조함에 휘둘리지 않을 뿐 아니라 남에게도 편안함과 여유를 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아홉째는 흔들림 없는 마음으로, 하늘에 많은 별이 있지만 중심의 정반성(북극성)은 동요하지 않듯, 내가 스스로 한결같고 고요하다면 다른 이의 불안함 역시 잠재울 수 있습니다.
열째는 맑고 깨끗한 마음으로, 흐린 물은 바닥을 볼 수 없으나 맑은 물은 그 밑까지 투명하게 드러나는 법입니다. 보살이 처음 십지(열 가지 마음)에 들어섰을 때 이러한 큰 서원을 품고 나아갑니다.
어둠 속에서 바늘을 꿰며 작은 실마리를 찾듯,
귀 안에서 기운이 뻗어나오는 듯한 상상을 하십시오.
스님께서 손을 들어 그 기운이 마치 허공으로 퍼져가는 듯 이끄시며, 말했습니다.
"이런 기운이다, 이런 기운이다."
하며, 할 한번하시고 법좌에서 내려오시다.
0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