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알고자 하는 이 자리는 공간과 시간을 초월하여 모든 상대적인 것이 떨어진 자리이다. 시절은 봄 삼월 좋은 시절이라 우주에 봄기운이 도래하여 시냇물은 잔잔히 흘러가고 꽃은 웃고 새는 우짖는데, 고요한 창가에 맑은 향이 피어오르는 모습은 우리 집의 묘한 풍경이며 곧 다함없는 진리이다.
봄이 오니 새 우는 소리도 봄에 우는 소리가 다르다. 겨울에는 추워서 근근히 움츠리는 소리로 우는데 봄에는 아주 활발한 활짝 핀 울음소리이다. 물은 잔잔히 흘러가고 산꽃은 웃고 들새는 노래하는 여기에 가르침이 있다. 가르침은 스승의 입으로만 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존재가 가르침을 하고 있는 것이다.
말하기 전에 눈썹으로 말을 전하고 묵묵히 눈으로 미소를 짓는다
[聲前眉語傳 黙然眼微笑]
눈이 마주치는 곳에 깨달음이 있기 때문이다. 여러분이 가만히 명상하고 있는 것이 극락세계의 소식이요 이것이 평안한 곳이요, 이것이 깨달음의 세계에 들어가는 것이다.
탐심과 성냄의 망상을 다 쉬고 모든 생각이 붙으려고 해도 붙을 수가 없는 그 경지에서는 천진난만한 동심으로 돌아가야 한다. 우리는 항상 마음이 편해야 하고 몸은 바쁘더라도 마음은 태연해야 한다. 마음이 바쁘면 몸도 바쁘게 되니 몸은 바쁘더라도 마음은 태연해서 평안한 곳을 얻어야 한다.
지극히 고요한 데 들어가면 편안함이 들어와서 몸도 편안하고 마음도 편안해진다. 그런데 속에 분별하는 망상의 도적이 들어 있어서 항상 불안한데, 그것을 없애고 가라앉히고 쉬어야 몸과 마음이 편안해진다. 지극히 고요한 데 들어가면 편안할 뿐 아니라 내 몸과 마음이 수많은 해와 달보다도 더 밝아지고 수많은 바닷물보다 더 맑아지는 이러한 경지가 들어온다.
지극히 고요한 경지에 들어가면 맑아지고, 맑아지면 밝아지고, 밝아지면 통하는 것이다. 이 자리가 사람마다 다 있는 것인데, 자기가 잘못해서 가슴이 답답하고 머리가 아픈 것이다.
마음이 바르면 모든 일에 편안하고 즐겁다. 마음이 바르지 못하면 자연히 불안이 생기고 몸과 마음이 불안해지는데, 마음이 바르고 맑으면 항상 편안하고 즐거워지는 것이다. 이것은 내 말이 아니고 부처님 말씀이다. 또 바르지 못하면 위태롭고 근심이 있다.
몸을 바르게 해야 한다. 몸을 아무리 바르게 하여 앉고 서더라도 마음이 바르지 못하면 바른 것이 아니다. 몸이 바르고 말을 바르게 해야 한다. 수행하는 사람은 지혜가 있어서, 무슨 말을 들으면 그 말이 어디에 떨어지는지 그 말의 참뜻을 안다.
그 말을 무엇 때문에 끄집어내는지 말을 다 안 들어도 아는 것이다. 정신 수련을 하면 모든 면에 통찰력이 빨라지기 때문에 좋은 것이다. 금을 캐면 금속에 은도 들어있고 철과 납도 들어 있는데, 잡철을 다 빼고 순금이 되면 세계에 통용되는 보배가 되는 것이다.
보검을 만드는 데도 쇠를 불에 넣어 달구어서 자꾸 두드려 불순물을 모두 빼내고 쇠의 정수만 남아 두드려도 아무런 잡철이 나오지 않을 때까지 두드린다. 다시 불에 달구어 최후에 물에 건져낼 때에 온도가 덥지도 차지도 않는 거기에 건져내는 그것이 묘한 것이다. 거기서 보검이 되는 것이다.
우리가 본래 천진난만해서 아무 생각도 없는데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의 세 가지 독과 수많은 번뇌를 일으켜서 모두 잡철 붙듯이 붙어 있는 것이다. 우리가 부처님의 가르침을 믿어서 마음도 바로 하고 그 마음속에 아무 잡된 생각이 없으면 순금이 되고 보검이 되는 것과 같은 것이다.
바른 뜻을 가지고 자비를 베푸는데, 자비는 즐거움을 주고 괴로움을 없애주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것이 보살이 행하는 곳이다. 보살이란 '밝게 본다'는 뜻이다. 그렇게 해서 욕되는 것을 참는 데 머물러서, 부드럽고 화하고 착하고 순한 마음을 지니는 것이다.
아무리 사람들이 수행을 잘하고 참을성이 좋아도 부처님의 과거 행적과 비교할 수가 없는 것이다. 누가 와서 너의 눈을 빼주면 내가 꼭 쓸 때가 있으니 좀 빼달라고 조르니 쑥 빼주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눈은 쓰지도 않고 발로 땅에다 문질러 버렸으니 얼마나 괴씸하였겠는가.
그래도 태연하게 흔들리지 않으셨으니 흔들림 없는 경지에 이르러 그렇게 되기가 참 어려운 일이다. 마음이 조급하지 말고 또한 놀라지도 말아야 되는데, 산에 풀밭 길을 가다가 꿩이 푸드득 하고 날아가면 깜짝 놀라는 것이다. 길을 가더라도 마음을 모아 집중하는 공부가 있으면 푸드득 할 때 꿩인 줄 알고 놀라지 않는 것이다.
우리가 알려고 하는 이 자리는 마음을 두어서 구하지도 못하고 무심으로써 얻지도 못하는 것이다. 무심은 마음이 없는 것이 아니라 헛된 생각 없는 그것이 무심이다. 말로 짓지도 못하고 말로써 어떻다고 말할 수도 없고, 문자로 이 자리를 어떻다고 형용할 수도 없고 고요함으로 통할 수도 없는 자리이다.
네 가지 큰 서원은 이러하다.
끝없는 중생을 서원코 건지리다
다함 없는 번뇌를 서원코 끊으리다
한없는 가르침을 서원코 배우리다
위없는 깨달음을 서원코 이루리다
이것은 네 가지 큰 서원인데 흔히 요새 말하는 서원이고, 명상하는 이들의 네 가지 서원은 이러하다.
배가 고프면 요긴히 밥을 먹고
추우면 옷을 더 입고
몸이 고단하면 발을 쭉 펴고 누워 자고
더우면 시원한 바람을 사랑한다
이것이 명상하는 이들의 네 가지 큰 서원인데 우리 일상생활을 제쳐놓고 무엇을 하겠는가 하는 것이다. 일상생활이 그대로 부처님의 가르침이고 깨달음이다. 눈만 끔적하고 소리 한 번 지르는 여기에 깨달음이 있고, 밥하고 옷 만들고 농사짓고 장사하는데 깨달음이 있고, 밥 먹고 용변 보는 데 모두 깨달음이 있는 것이다. 깨달음을 모르니까 깨달음을 찾지 그곳에 다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금강경(金剛經) 첫머리에 "부처님이 밥 먹을 때를 당해서 가사를 입으시고 발우를 가지고 큰 성에 들어가서 차례로 걸식해서 본래 자리에 돌아와서 밥 잡수시기를 마치고 옷과 발우를 거두시고 발을 씻고 자리를 펴고 앉으셨다"라고 하였는데, 무엇 때문에 그 소중한 경전에 밥 얻어먹고 밥을 다 먹고 발 씻고 자리를 펴고 앉는 것을 경전 처음에 넣었겠느냐 하는 것이다. 진리가 거기에 다 있는 것이다. 이것을 경 읽는 사람도 쉽게 넘기고 배우는 이도 쉽게 그 대목을 넘기는 것이다. 무엇 때문에 밥 먹고 발 씻고 자리를 펴고 앉는 것을 넣었는가를 모르고 그냥 넘어가는 것이다.
연극으로 멋있게 깨달음을 편 일이 있는 것이다. 누가 창안했는지 몰라도 가만히 생각해보니 아주 멋진 도인이 구상을 한 것이다. 연극으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편 셈이다.
0개 댓글